원어 항목명 | The Korean Pacific Magazine |
---|---|
한자 | 太平洋雜誌 |
영문 | The Korean Pacific Magazine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창간 시기/일시 | 1913년 9월 1일 |
---|---|
속간 시기/일시 | 1930년 12월 13일 |
원어 항목명 | The Korean Pacific Magazine |
성격 | 국문 잡지 |
관련 인물 | 김영우|정태화|송필만|윤치영|김현구|김원용 |
창간인 | 이승만 |
1913년 9월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에서 이승만이 창간한 월간 국문 잡지.
『태평양잡지[The Korean Pacific Magazine]』는 1913년 9월 1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이승만(李承晩)이 국문으로 발간한 종합 잡지이다. 1920년 7월 이승만이 대한인동지회를 결성한 이후로는 대한인동지회의 기관지 역할을 하였다. 월간으로 발간되던 『태평양잡지』는 1930년 12월 13일부터 『태평양주보[The Pacific Weekly]』로 제호를 바꾸고 주간지로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1910년대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에서는 재정과 교육 기관 지원 문제로 분쟁이 발생하였는데, 이때 『태평양잡지』는 이승만의 노선을 옹호하는 글들을 수록하여 여론을 주도하였다. 창간 초기에는 이승만이 사장과 주필을 겸하며 원고 작성과 편집을 혼자 맡아 하고, 안현경(安顯景)이 재무와 영업을 도왔다. 1920년대 전반에는 주필·발행인 겸 편집인·재무·인쇄 등의 구분이 있었는데, 주필은 김영우(金永佑)[국문]·정태화(鄭太化)[영문]·송필만(宋必滿)·윤치영(尹致暎)이 맡았다. 1930년대에는 이승만이 사장을 맡고 김현구(金炫九)와 김원용이 편집을 맡았다. 1920년 7월 이승만이 대한인동지회를 결성한 이후 『태평양잡지』는 대한인동지회의 기관지 역할을 하였다. 『태평양잡지』의 한 회 구독료는 25센트였고, 1년 구독료는 2달러 50센트였다. 『태평양잡지』는 1924년 당시 매 호 700부씩 인쇄되어 하와이, 미국 본토, 멕시코와 쿠바, 중국, 영국과 독일 등지로 배포되었다. 월간으로 발간되던 『태평양잡지』는 1930년 12월 13일부터 『태평양주보』로 이름을 바꾸고 주간으로 발간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