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New Life |
---|---|
영문 | New Life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1977년 |
---|---|
폐간|종간 시기/일시 | 1990년 |
원어 항목명 | New Life |
성격 | 월간 잡지 |
발행인 | 안마태 |
1977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에서 성공회 안마태 신부가 발간한 재미 한인을 위한 월간 교양지.
성공회 안마태 신부는 1977년부터 1990년까지 약 14년간 미국으로 이주해 오는 한인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녀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뉴 라이프(New Life)』를 발간하였다. 초판 500부는 한글과 영문 타자기로 찍어서 복사하여 배포하였다. 이후 인기가 높아져 오프셋기로 수천 부를 인쇄하여 무료로 배포하였다. 운영은 한인 업체 광고를 게재한 광고 수입과 모금 사업으로 하였다. 이중 언어가 가능한 한인 직원을 고용하여 발행을 지속하다가 1990년 자금난으로 폐간하였다.
1977년 성공회 안마태 신부가 미국으로 새로 이주해 오는 한인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간한 월간 잡지이다.
『뉴 라이프』는 소책자 전도 잡지로 전체 20면으로 구성되었으며, 4면은 교회 전용으로 다루었다. 초기에는 일본에서 사진 식자기를 구입하여 잡지를 발간하였는데, 빠른 인쇄와 잡지 매수 증수를 위하여 안마태 정음자판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뉴 라이프』는 주로 기독교 문화를 주제로 한 기사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저렴한 비용으로 광고를 게재하여 한인들의 사업 홍보 및 생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 수입으로 운영비를 충당하였다. 부족한 운영 자금은 연방 보조 기금과 모금으로 충당하였다.
『뉴 라이프』에는 안마태 신부가 1975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교구의 요청으로 시작한 한인 이민 사회를 위한 사회사업 및 선교, 한인봉사회 조직 확대, 미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코리아화해협의회 활동 등 재미 한인 공동체를 위한 활동 및 한국의 민주화와 남북통일을 위한 사회 활동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안마태 신부가 1970년대부터 재미 한인을 대상으로 인쇄물을 발행하면서 한글 활자의 기계화에 관심을 가지고 ‘안마태 바른소리 글판’, ‘안마태 한손 글판’ 등 자판 개발에 전념한 이야기도 확인할 수 있다.
『뉴 라이프』는 연방 기금과 광고 수입, 모금 등으로 1977년부터 발간되었다. 그러나 1982년 연간 14만 달러 이상의 연방 정부 기금이 중단되고, 이민자 증가로 영세한 한인 사업체들이 늘면서 발간을 지속하지 못하고 1990년 폐간되었다.
『뉴 라이프』는 한인 이민자들을 위해 로스앤젤레스 성공회에서 발간한 월간 잡지로 이민자를 위한 생활 안내서 및 한인 2세들을 위한 교육 상담서 역할을 하였다. 안마태 신부는 잡지 발간과 더불어 안마태 정음자판을 개발하여 중국과 한국에서 사업적으로 크게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