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장생』

원어 항목명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영문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미국 오리건주 유진시 존슨 레인 1430  
시대 근대/개항기
상세정보
소장처 미국 오리건주 유진시 존슨 레인 1430
원어 항목명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성격 병풍
정의

1880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미국 오리건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한 조선 후기 왕실 병풍.

개설

『십장생』 병풍은 일명 ‘오리건대학교 박물관 소장 십장생 병풍’으로 원명은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王世子痘候平復陳賀稧屛)』이다. 1879년(고종 16) 당시 왕세자, 즉 순종(純宗)의 천연두 치료 후, 치료에 참여한 14명의 주도로 1880년(고종 17)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간행 경위

박본수의 연구에 따르면 『십장생』 병풍은 1879년 12월 당시 왕세자, 즉 순종의 천연두 치료 후 치료에 참여한 이유원(李裕元), 민겸호(閔謙鎬) 등 14명의 주도로 만들어진 계병(稧屛)이다. 계병은 조선 시대 국가적 행사를 치른 뒤 관료들이 계를 조직하고 참여했던 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병풍을 말한다. 치료에 참여한 14명의 관직명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와 비교한 결과 1880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총 14개가 제작되었다고 보이나 현재까지는 오리건대학교 소장본이 유일하다.

서지적 상황

『십장생』 병풍은 1924년 서울의 한 무역상이 판매한 것을 오리건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해 온 것으로, 조던슈니처박물관 ‘머레이 워너 동양 미술 컬렉션’의 대표 한국 전시물로 알려져 있다.

형태

『십장생』 병풍은 한 첩이 세로 201.9㎝, 가로 52.07㎝의 크기로 모두 10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모두 10첩으로 구성된 『십장생』 병풍 1~8첩에는 불로장생을 의미하는 십장생도가 그려져 있고, 9~10첩에는 관직과 이름 등의 좌목(座目)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십장생을 주제로 제작된 계병도 처음이고 궁중 장식화 중 제작 의도나 연대가 비교적 정확히 밝혀진 경우도 거의 처음이라 그 의의가 크다. 나아가 『십장생』 병풍은 조선 시대 십장생 그림의 양식, 연대 추정에 기준을 세우는 데에도 중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 박본수,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 병풍 연구」(『고궁문화』2, 국립고궁박물관, 2008)
  • 「조선 왕실 ‘십장생 병풍’ 제작 배경·연대 첫 확인」(『문화일보』, 2009. 1. 3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