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

원어 항목명 Pictorial Book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S.A.
영문 Pictorial Book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S.A.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2004년
간행처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간행처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Pictorial Book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S.A.
성격 단행본
저자 차종환|민병용|알렉스 정|이정현|천유리|최혁|옥애니|이제니
편자 차종환|민병용
번역자 알렉스 정|이정현|천유리|최혁|옥애니|이제니
간행자 미주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사업회, 한국일보 미주 본사
정의

2004년 미주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사업회와 한국일보 미주 본사가 미주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한 화보집.

개설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은 미주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여 남가주 미주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사업회와 한국일보 미주 본사가 재외동포재단의 재정 지원을 받아 공동 편찬한 화보집이다. 아직 공개되지 않았거나 보존 가치가 있는 사진들을 비롯하여 미주 한인들의 삶의 애환을 담은 100년간의 사진 자료들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다방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편찬/간행 경위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의 편찬 목적은 아메리카 드림을 찾아 미국으로 건너온 한인 이민의 역사가 100주년이 되는 시점에서 첫째, 이민 100주년의 의미를 찾고, 둘째, 재미 한인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며, 셋째, 100년 기록을 후세와 국내외 한국인들에게 알리고자 함이다.

서지적 상황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는 180장[30%]이 초기 이민 사진으로 구성되었고, 70%는 중기 이민[1948~1965년]과 새 이민 사회[1965년 이후] 관련 사진이 수록되었다. 아직 공개되지 않은 사진 및 보존 가치가 있는 사진, 미주 독립운동의 자취 등을 싣고 있다. 남가주 지역 사진이 전체 80%를 차지하는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형태

크기는 27㎝, 313쪽 분량에 색채 삽도가 있으며, 649장의 사진 자료 및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내용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는 한인이민역사박물관, 남가주 대학교[USC] 동아시아도서관, 샌프란시스코 가주국제문화대학, 스미스소니언(Smithsonian) 도서관, 로스앤젤레스 중앙도서관, 로스앤젤레스 한인연합감리교회, 나성 한인연합장로교회에서 소장한 자료 및 개인이 보관 중인 사진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1900년전), 제2장(1903), 제13장(2003)을 제외하고 각 장을 10년 단위로 묶어 편집하였다. 각 장마다 시대별 주제에 맞는 간략한 개관 설명과 함께 관련 사진들을 배치했으나, 관련 사진 자료의 부족 내지 편집 잘못으로 연대별로 차이가 나는 사진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흠이라 할 수 있다.

주요 목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1900년전) 조용한 아침의 나라 코리아/ 제2장(1903) 하와이 농장으로 첫 이민길/ 제3장(1910년대) 독립운동으로의 긴 여정/ 제4장(1920년대) 캘리포니아의 초기 한인들/ 제5장(1930년대) 대한인국민회관을 건립/ 제6장(1940년대) 조국의 광복을 위해서/ 제7장(1950년대) 모국 구호 사업과 유학생들/ 제8장(1960년대) 새 이민법과 대량 이민 시대/ 제9장(1970년대) 코리아타운과 한국의 날 축제/ 제10장(1980년대) 한인 교회와 단체 성장/ 제11장(1990년대) 4·29 폭동과 성숙으로/ 제12장(2000년대) 새 천년과 한인 사회/ 제13장(2003) 미국 한인 이민 100주년 축제 그리고 새 100년을 향해서/ 부록 자랑스런 초기 이민 2세, 코리아를 빛낸 스포츠계의 스타들, 각 지역 역사 사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구한말 시기의 세종로[1890년대], 종로 전찻길 거리[1900년 초], 서대문[1910년], 동대문[1900년]의 모습과 미국을 방문한 보빙사 사절단, 독립문[1890년대], 신식 군인 사진, 알렌, 민영환, 고종, 대신들의 사진까지 좀처럼 보기 힘든 희귀 사진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선교사 및 이민자들의 여권 사진을 비롯하여 하와이로 입항하는 갤릭호 사진부터 미주 한인들의 삶의 애환을 담은 100년간의 사진 자료들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다방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차종환·민병용, 『사진으로 보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1903~2003』(미주한인이민 100주년 기념사업회, 한국일보 미주 본사, 200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