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민사박물관』

원어 항목명 The Museum of Korea Emigration History
영문 The Museum of Korea Emigration History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29[북성동 1가 102-2]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2010년
소장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29[북성동 1가 102-2]
간행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29[북성동 1가 102-2]
원어 항목명 The Museum of Korea Emigration History
성격 도록
저자 한국이민사박물관
간행자 한국이민사박물관
정의

2010년 제작된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소재 한국이민사박물관의 상설 전시 도록.

개설

『한국이민사박물관』은 미주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된 한국이민사박물관의 상설 전시 도록으로 2010년에 제작되었다. 한국이민사박물관 개관 당시의 주요 유물 및 설명 내용을 모두 수록하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한국이민사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이민사 박물관으로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북성동 1가] 월미공원에 있다. 2003년 미주 이민 100주년을 맞이하여 제물포[인천의 옛 이름]에서 이민선을 타고 먼 타국으로 출발한 선조들의 개척자적인 삶을 기리고 그 발자취를 후손들에게 전하기 위해 인천 시민들과 해외 동포들이 뜻을 모아 건립하였다. 2003년 1월 미주 이민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 한국이민사박물관 건립이 논의되었고, 2003년 11월 건립추진위원회가 개최되었다. 2004년 5월 박물관 건립 타당성 용역을 시작으로, 2005년 1월 설계 용역을 거쳐, 2006년 6월 19일 건립 공사에 들어갔다. 2008년 2월 29일 연면적 4,127㎡에 상설 전시실, 기획 전시실, 강당, 영상실 등을 갖춘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박물관이 준공되었다. 2008년 6월 13일 개관식을 시작으로 문을 열었고, 개관 이후 인천광역시 서부공원사업소에서 관리하였다. 2012년 2월 27일 한국이민사박물관은 전문성 확보와 체계적인 이민 역사 연구를 위해 인천시립박물관 분관으로 편입되어 인천시립박물관의 3번째 분관이 되었다. 『한국이민사박물관』은 한국이민사박물관의 상설 전시 도록으로 2010년 제작되었다.

서지적 상황

『한국이민사박물관』의 구성은 한국이민사박물관의 상설 전시와 동일하게 1장은 미지의 세계로, 2장은 극복과 정착, 3장은 또 다른 삶과 구국 염원으로 되어 있다. ‘1장 미지의 세계로’에서는 이민의 출발지였던 개항 당시 인천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첫 공식 이민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국내 정세 및 하와이 상황 등을 실었다. ‘2장 극복과 정착’에서는 하와이에 정착한 한인들의 애환과 미국 전역에 뿌리 내린 개척자로서의 발자취 등을 담은 사진 자료 및 유물을 볼 수 있다. ‘3장 또 다른 삶과 구국 염원’에서는 중남미로 떠난 한인들의 삶과 조국의 광복을 위해 몸 바쳤던 활약상을 볼 수 있다.

형태

『한국이민사박물관』은 주로 천연색 삽화로 이루어진 국8절 변형[217㎜×285㎜] 책자로 참고 문헌을 포함하여 총 14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이민사박물관』의 정부 간행물 발간 등록번호는 54-6280350-000001-14이며 2010년 6월 발간되었다.

구성/내용

제1장 ‘미지의 세계로’는 1절 도전의 출발지 인천, 2절 이민사 연표, 3절 대한의 빛, 4절 국제 개항장 인천, 5절 국제 무역항으로의 발전, 6절 이민의 배경, 7절 하와이 이민 모집 공고, 8절 첫 이민선, 갤릭호를 타기까지로 총 5절로 구성되어 있다.

제2장 ‘극복과 정착’은 1절 설렘과 두려움을 안고, 2절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의 하루, 3절 낯선 땅, 낯선 환경, 4절 사진신부 이야기, 5절 한인 사회의 구심점, 교회, 6절 또 다른 도전, 미국 본토에 뿌리내린 한인 사회, 7절 한인들의 뜨거운 교육열로 총 7절로 구성되어 있다.

제3장 ‘또 다른 삶과 구국 염원’은 1절 또 다른 삶의 울림, 멕시코 초기 이민사, 2절 에네켄 농장, 3절 국민회 메리다지방회, 4절 멕시코 후기 이민사, 5절 쿠바 한인의 삶, 6절 쿠바 지방국민회 결성, 7절 산업화, 세계화 속의 이민, 8절 이민 사회의 구국운동, 9절 미주 한인 사회에서의 독립운동, 10절 코리아 디아스포라의 귀향까지 총 10절로 이루어졌다. 끝으로 논문 2편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2008년 한국이민사박물관 개관 후 첫 상설 전시 도록으로, 개관 당시의 주요 유물 및 설명 내용을 모두 수록하고 있다.

참고문헌
  • 이진영 외, 『하와이 동포의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인하대학교 출판부, 2009)
  • 『한국이민사박물관』(인천광역시 서부공원사업소 한국이민사박물관,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