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원어 항목명 Mugunghwa, a Collection of Korean Songs
한자 無窮花
영문 Mugunghwa, a Collection of Korean Songs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31년
소장처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찰스 E. 영 드라이브 노스 280
간행처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Mugunghwa, a Collection of Korean Songs
성격 한국 가곡집
편자 한석원
간행자 한석원
정의

1931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석원이 발간한 한국 가곡집.

개설

『무궁화』는 1931년 1월 1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영원사에서 등사판으로 발간된 한국 가곡집이다. 가곡집에는 「애국가」도 수록되어 있는데, 「애국가」의 작사자 논란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무궁화』는 일제 강점기 당시 국내 발간이 어려워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등사판으로 발간되었다. 한석원(韓錫源) 목사가 1928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세계주일학교대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면서 국내에서 부를 수 없는 노래들의 가사와 악보를 가지고 갔고, 3년 후 이를 모아 영원사에서 가곡집으로 발간하였다. 작사자는 모두 한인들이었으나 곡들은 서양 민요나 유명한 서양 곡들을 가져와 쓴 것이다.

서지적 상황

『무궁화』의 편집 및 발행인은 한석원이고, 강영승(康永昇)이 서문을 썼다. 수록곡 가운데 「애국가」의 작사자가 윤치호(尹致昊)[1865~1945]로 명시되어 있다.

형태

『세계명작가곡집 무궁화』가 정식 명칭이며 길이는 172쪽, 크기는 20.7×30.5㎝ 정도이다.

구성/내용

목차에는 109곡으로 나와 있으나 실제로는 「애국가」, 「국기가」, 「혁명가」, 「독립선언가」뿐만 아니라 「대한반도 내 사랑」, 「반달」, 「달밤의 고향」, 「고향이 그리워서」, 「낙화암」, 「천하에 제일 좋은 곳」, 「님의 창밖에」, 「흰나비」, 「죽음의 참미」[윤상덕 작사], 「너와 나」 등 총 170곡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무궁화』는 국내 근대 음악의 초창기 상황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아직까지 작사자 미상으로 남아 있는 「애국가」 작사자 논란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 『미국 UCLA 리서치도서관 스페셜 컬렉션 소장 함호용 자료』(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3)
  • 국외소재문화재재단(http://www.overseaschf.or.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