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被動的 文化 接變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현대/현대 |
미국 한인 사회에서 한국의 민속 문화가 타 문화의 영향을 받아 교체되는 현상.
문화 접변(文化接變)이란 서로 다른 문화 전통을 가진 여러 사회가 접촉할 때 일어나는 인공물, 관습, 믿음, 즉 문화의 변화 과정과 그 결과를 말한다. 미국 한인 사회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문화 접변이 일어나는데, ‘능동적 문화 접변’과 ‘피동적 문화 접변’이 그것이다. 한국의 민속 문화가 타 문화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현상이 능동적 문화 접변이고, 한국의 민속 문화가 타 문화의 영향을 받아 거의 교체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현상이 피동적 문화 접변이다.
능동적 문화 접변 현상으로 대표적인 것은 한국의 출산 의례 중 하나인 미역국 먹기이다. 미국의 산모가 평소에도 먹지 않는 미역국을 출산 때라고 해서 먹을 리는 없다. 그러나 산모가 동양계일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산후 피를 맑게 하는데 효험이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평소 미역을 먹을 줄 아는 동양인이 따라 먹으면서 산후 조리에 미역이 좋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 한국의 전통 민속이 비록 미국 내에 거주하는 일부 동양인들의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능동적으로 작용한 셈이다.
한인 사회는 어차피 소수 민족이라는 문화 환경적 핸디캡을 안고 있다. 내 언어, 내 문화를 내세울수록 현실 공간에서는 더 많은 제약과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민 초기에는 가능한 한 빨리 현지의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급선무였으므로 미국화가 더욱 촉진될 수밖에 없었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의생활, 출산 전후의 각종 의례, 결혼 의례, 장례, 세시풍속 등 모든 것이 미국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은 피동적 문화 접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 것이었다.
피동적 문화 접변 현상으로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이른바 베이비 샤워(baby shower)란 의례이다. 이 새로운 풍속도는 미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출산을 약 한 달쯤 앞두고 친구들이 임신부에게 격려와 축하를 하기 위해 모이는 모임이다. 일반적으로는 주위의 친구들 중 1명이 주관하는데, 간단한 음식과 선물 등을 준비한다. 다른 여러 친구들과 함께 임신부를 자기 집으로 초청하여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며 각자 준비해 온 선물을 임신부에게 주고 격려와 함께 축하를 하는 행사이다. 이 때 준비하는 선물은 아기의 옷, 아기 기저귀, 현금 등이다. 이는 일종의 산전 축하, 즉 산전 하례로서 그 의미는 출산을 앞 둔 임신부에게 출산의 두려움을 없애 주고, 또 미리 아기의 용품들을 준비해 둠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산전 하례는 전적으로 미국의 문화로부터 전승된 것, 즉 피동적 문화 접변에 의한 것으로 재미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인 사회에서는 특히 빈번하게 발견되는 새로운 문화 전승의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