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

원어 항목명 Richard C. Rudolph East Asian Library
영문 Richard C. Rudolph East Asian Librar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찰스 E. 영 드라이브 노스 280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찰스 E. 영 드라이브 노스 280
원어 항목명 Richard C. Rudolph East Asian Library
원어 주소 280 Charles E Young Dr N, Los Angeles, CA 90095, USA
영문 주소 280 Charles E Young Dr N, Los Angeles, CA 90095, USA
성격 도서관
전화 310-825-4836
정의

194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UCLA에 리차드 루돌프 교수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설립된 한국 및 동아시아 관련 자료 소장 도서관.

개설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은 1948년에 설립되어 북미 지역에서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이고 많이 이용되는 동아시아 컬렉션을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주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자료들을 수집·정리·보관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 지역에서는 가장 규모가 크고, 북미 전체 지역에서는 10번째로 큰 동아시아 도서관이다. 한국 자료의 경우, 미주 한인들의 기부와 함께 특히 초창기 미주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과 독립운동에 관한 자료들을 많이 보관하여, 미주 한인 커뮤니티 및 역사에 관한 중요한 기록 보관소의 기능도 하게 된 도서관이다.

건립 경위

UCLA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은 아시아 언어 및 문화부의 동양어학과장인 리처드 루돌프(Richard C. Rudolph) 교수가 수집한 동아시아 관련 자료를 토대로 설립되었다. 설립의 주요 목적은 UCLA의 동아시아 관련 교수 및 연구 프로그램의 지원과 함께 UC[University of California] 계열의 다른 대학교 학생, 교수, 연구자, 직원들에게도 동아시아 관련 정보를 보다 손쉽게 제공하는 것이었다. 1948년경 리처드 루돌프 교수는 풀브라이트(Fulbright) 보조금을 받아 중국의 고고학을 연구하던 중이었다. 그리고 UCLA의 중국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이 공산화되어가던 당시에 중국으로 출장 가서 중국의 참고 도서류와 목판본 문고 등 많은 자료들을 수집했고, 돌아오는 길에는 일본도 경유해 일본 장서를 구입하는 등 모두 1만 권의 장서를 수집하여 리처드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 설립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변천

1948년 UCLA 동양언어학과[현 동아시아언어와문화과]의 학과장이었던 리차드 루돌프 교수가 중국 관련 자신의 고고학 연구 및 UCLA 내 중국학 연구에 필요한 책들을 구입하기 위해 풀브라이트의 지원으로 중국 여행을 하게 되었다. 중국 여행 중 북경과 청도의 서점에서 판화로 만들어진 대규모의 진본 문헌들[백과사전, 거대한 규모의 선집 등]을 얻게 되었고, 미국으로 돌아오던 도중에는 일본도 경유하여 많은 연구 문헌들을 구입하였다.

UCLA로 돌아온 후에는 포웰도서관 건물 지하에 동양학도서관[The Oriental Library]을 설치하고 캠퍼스 내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참고 문헌 서적들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1971년, 연구 도서관이 건설된 이후 동양학도서관은 현재 위치인 찰스 영 연구도서관[Charles E. Young Research Library]의 2층으로 옮겨졌다. 1981년 4월 10일에는 리차드 루돌프의 헌신적인 노력을 기념하여 리차드 C. 루돌프 오리엔탈도서관[Richard C. Rudolph Oriental Library]으로 개칭되었고, 1985년 이후에는 한국학 연구 및 강의 보조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한국 관련 역사, 문학, 종교, 전통 문화 등에 관한 자료도 본격적으로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0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으로 개칭되어, 중국, 일본, 한국 자료 수집 및 동아시아 연구 지원 도서관으로서의 성격을 명백히 이름에 반영하게 되었다.

구성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은 한국학 컬렉션, 중국학 컬렉션, 일본학 컬렉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학 컬렉션은 1985년부터 적극적으로 한국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역사, 문학, 기독교, 불교, 민속 등에 관한 자료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한국학 컬렉션에는 민주주의와 통일에 관한 집회, 함호영 논문 1873~1984[Ho Young Ham Papers, 1873~1984], 1955년 세계문학사전[World Literary Dictionary] 편집자였던 진희섭(Chin Hei Sop) 아카이브 컬렉션, 1906~1970, 안형주 한국 자료 수집, 1902~1959, 한국 영화 컬렉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일본학 컬렉션은 불교, 미술, 문학, 역사, 민속학 등에서 강세를 보이고 최근에는 근대 지성사와 문화 연구에 더 많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800여 종의 근대 출판물과 원고, 일본 역사에 관한 2,000권의 도서와 토쿠 야마지로의 2,600여 권이 넘는 경영학, 비교 문화, 국제 관계에 관한 자료가 있다. 중국학 컬렉션은 북미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고학, 종교[특히 불교], 민속학, 전근대사, 고전 문학 및 미술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중국학 컬렉션에는 중국의 주요 고고학적 발견을 다루는 고고학 특별 시리즈[Kao gu xue zhuan kan]가 있고, 1만여 권 이상의 불교 고전 및 연구 논문, 회고록 및 전기, 수백 권의 중국 문학 및 문학 비평, 일기, 중국 현지 역사 자료와 지명 사전 등이 있다. 또한 고전 건축, 전통 그림, 조각 및 민속 예술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예술품과 중국 역사 드라마와 민속, 영화 및 TV 시리즈 2,000여 개를 소장하고 있다. 특별한 중국학 컬렉션으로 한유산 컬렉션, 1796년 이전에 제작된 250권의 중국 희귀 서적, 톰 룽(Tom Leung) 아카이브 컬렉션, 중국 민주주의 운동 기록, 1982년 중국 제3차 센서스 통계 자료 등을 가지고 있다.

한국학 컬렉션의 미주 한인 이민과 관련된 주요 자료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함호영이 제공한 자료[1873-1984]이다. 함호영은 1868년 5월 5일 서울에서 출생했고, 1905년 아내와 함께 미국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함호영이 제공한 자료에는 공예품, 오디오 기록, 책, 옷, 서신, 글, 사진 등과 함께 함호영의 사탕수수 재배 농장 생활, 한국 교회[감리교] 목사 생활, 민족주의 활동 등이 기록된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두 번째는 진희섭 컬렉션[1906-1970]이다. 진희섭은 세계문학사전의 편집장이었고, 『Korean Reader』[1958]라는 교과서와 『Fundamental Korean for English speaking people』[1959]을 집필한 적이 있으며, 주간지인 『한미통신[Hanmi t’ongsin, or The Korean American news bulletin]』의 설립인, 편집인, 그리고 발행인이었다.

또한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석판인쇄학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Johnny International men's clothing importing company[1970]와 Harry and Sons, and Asia International[1983]을 설립하였다. 진희섭 컬렉션은 1945년 이전 미국 하와이와 본토 내 한국의 독립운동과 관련된 자료들[특히 미국 본토에서 벌인 한국 독립운동 관련 자료 가운데는 이승만(李承晩), 서재필(徐載弼), 정한경 등을 포함한 구미위원부 회원과 김영기가 서로 교환했던 서신, 중국 상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하와이·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둔 대한인국민회 간 서신들이 포함되어 있다.], 동지회, 한족연합회[the United Korean Committee],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의회, 로스앤젤레스 내 한국커뮤니티센터 등과 관련된 문서들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는 안형주 컬렉션[1902-1959]이다. 안형주는 1964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을 졸업하고 항공기 제조업체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로 일을 한 바 있다. 안형주 컬렉션에는 일제 강점기 한국어로 기록된 문서들[종교, 역사책, 교과서 등]이 있으며, 필름 자료로서 1900~1947년 하와이 내 한국인 커뮤니티와 생활상을 담고 있는 「무궁화동산」[다큐멘터리 영화 필름]의 진본이 포함되어 있다.

현황

UCLA 루돌프 동아시아도서관은 개방 시간이 월요일~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이며, 2017년 현재 도서관장 1명, 중국 연구 사서 1명, 한국 연구 사서 1명, 일본 연구 사서 1명 등 3명의 전문 사서와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수집 및 목록 작성자 4명이 근무하고 있다. 2013년 6월 30일 기준으로 단행본, 저널, 마이크로 폼, 시청각 자료 및 전자 서적 등을 포함하여 76만 4737권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그중 36만 4496권은 중국어, 27만 8958권은 일본어, 6만 2756권은 한국어에 관한 자료이다.

중국, 일본, 한국 자료들을 개발, 정리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참고 봉사 서비스, 대출 서비스 및 자료 이용법 강의 등을 통해 효율적인 자료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발행 중인 주요 논문집들, 신문 기록, 참고 문헌 자료들도 구독 중이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모든 한국학 자료들이 다 동아시아도서관 내에 보관되어 있지는 않다. 약 1/3가량의 자료들은 남부 지역 도서관 시설[Southern Regional Library Facility]에 보관 중이다. UCLA 한국학자료센터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받는 북미한국학자료소장협력단의 구성원이다.

참고문헌
  • 강미경, 「UCLA에 보관된 한국 이민 역사 관련 자료에 대한 개요」(『미주 지역 한인 이민사』, 국사편찬위원회, 2003)
  • UCLA 도서관(http://www.library.ucla.edu/libraries/eastasian)
  • 유씨엘에이 한국학도서관(https://www.facebook.com/ucla.koreancollection)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