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Korean American Digital Archive |
---|---|
영문 | Korean American Digital Archive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미국 |
시대 | 현대/현대 |
소장처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트라우스데일 파크웨이 3550 |
---|---|
원어 항목명 | Korean American Digital Archive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재미 한인사 관련 디지털 아카이브.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는 미국 도처에 산재하여 접근하기 어려웠던 재미 한인들의 경험을 담은 다양한 기록들을 모아 놓은 아카이브이다. 1만 3000 페이지가 넘는 기록들, 1,900개의 사진들, 180여 개에 이르는 음성 파일들을 한 곳에 모아 일제 강점기 재미 한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저항 했는지와 미주 한인들이 미국에서 어떤 경험들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초기 단계였던 1999년 10월 1일~2000년 9월 30일에 엘에스티에이(LSTA)기금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았다. 엘에스티에이는 도서관 서비스 및 기술법을 지칭하는 영문 ‘The Library Services and Technology Act’의 약자이다. 디지털화된 자료는 홈페이지[http://libguides.usc.edu/KADA]에 올려놓고 있으며, 실제 자료는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아카이브연구센터 동아시아도서관[the East Asian Library of the Archival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보관 중이다.
주요 보관 자료는 국민회(Kungminhoe) 관련 기록[Documents of the KNA Building], 현순이 제공한 문서들[The reverend Soon Hyun Collected Works], 미주 한인들의 개인 기록들[Private Records], 미주 한인들의 사진 자료[Photographs], 구술사 자료[Oral Histories], 도서관 보관 파일[Library Files] 등이 있다.
1938년에 봉헌된 국민회 빌딩[The KNA Building]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에 있으며, 여러 한국 단체들의 본부들이 있었다. 한국 단체 가운데 국민회는 자체적으로 통합된 한국인 위원회이자, 미국 내 한인 상공회의소, 한인 상호부조회를 가지고 있었고 『신한민보』라는 신문을 발간하였다. 국민회 관련 자료들은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도서관[남가주대학교 도서관]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한인국민회대십일대·십이자대표대회회록[1946·1948], 대한인국민회대십삼자대표대회회록[1949], 대한인국민회중앙집행위존회[1945-1960], 한인국민회대십자대표대회회록[1952-1960], 대한인국민회대이십자대표대회회록[1955], 대한인국민회중앙집행위존회[1959], 대한인국민회대이십이자대표대회회록[1957], 대한인국민회 대이십사자대표대회회록[1960], 국민회 대표대회[제55차, 1964] 회의록, 국민회 대의원대회[제2차, 1964] 회의록, 국민회 샌프란스시코회의 제의안[1964], 국민회 서신[1960-1974], 국민회 소득 세금[1948-1966], 국민회 상조부[1944-1964], 국민회 상공회의소 회칙[1943-1964] 등이 있다.
재미 한인들이 제공한 다양한 형태의 개인적 기록은 미주 한인들의 삶을 조명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에 포함된 주요 개인 기록들로는 Helen Paik Chen의 기록, Eugene Park Hwangbo의 기록, Evelyn Kim Charr의 기록, 안창호의 기록, Florence Ahn의 기록, Irvin Paik의 기록, Sumi Haru의 기록 등이 있다.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에 포함된 사진 자료로는 20세기 초·중반 한인 커뮤니티들이 찍은 결혼사진, 젊은 미주 한인 여성 사진, 학생 사진, 가족사진 등이 있다.
구술사 자료는 한인 커뮤니티에서 오래 살아온 구성원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이다.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에 포함된 대표적인 인터뷰 자료들로는 Audrey Bhang Lee/Daniel Bhang, Lloyd Hahn, Richard O. Hahn/Julia Kim Hahn, John Kyudong Han, Helen lee Hong, Julia Kim Ide/Frank Kim/Betty Chung Kim, Anne Kimg Kido, Lester Edward Kim/Pearl Lim Kim, Yong Oak Kim, Yin Kim, Carrie Yoon Kwon, Stewart P. Lim, Joe Lyou, Helen Cho Paik, Arthur W. Park/Marie Park Fujii/Gilbert W. Park/Harry W. Park, Daniel Park, Harry Park/Rak Soon Lee Park, Cecilia Lim Woo 등과 인터뷰한 자료들이 있다.
미주 한인들이 남긴 유산 속에는 여러 미주 한인들과 단체들이 겪은 구체적인 미국 삶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으며, 미주 한인 디지털 아카이브에는 미주 한인들의 이러한 모습들을 자료로 구축해놓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신두식(Shynn Doo Sik)의 추방 기록, 다이아몬드 김(Diamond Kim)의 추방 기록, 한국비행조종학교들, 미주 한인 뉴스 레터들, 일차 주소[이름] 목록 및 인구[First Wave Direction and Demographics], 미주 한인들의 회고록, 미주 한인 시민단체, 미주 한인 초기 의회[Korean American Pioneer Council] 등에 관한 자료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