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들리 공동묘지

원어 항목명 Reedley Cemetery
영문 Reedley Cemetery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사우스 리드 애비뉴 2185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862년
최초 설립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사우스 리드 애비뉴 2185
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사우스 리드 애비뉴 2185
원어 항목명 Reedley Cemetery
원어 주소 2185 S. Reed Ave. Reedley, CA 93654, USA
영문 주소 2185 S. Reed Ave. Reedley, CA 93654, USA
성격 공동묘지
정의

186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에 건립된 초기 한인 이민자들이 다수 안장된 공동묘지.

개설

리들리 공동묘지는 1862년 캘리포니아 리들리에 건립되어 초기 미주 한인 이민자들이 많이 안장되어 있는 대표적인 공동묘지이다. 매년 재미 중가주 해병대전우회 주도로 태극기 게양 및 묘지 관리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건립 경위

리들리 공동묘지는 1862년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건립하였다.

변천

리들리 공동묘지에는 145기의 한인 묘지가 있으며 미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에 동참했던 인물들이 다수 묻혀 있다.

구성

리들리 공동묘지에 묻힌 대표적인 인물로는 북미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총회장 등을 역임한 김호[김정진, 1884~1968, 독립장, 2002년 2월 28일 이장되어 2002년 10월 8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 대한인국민회 중앙 집행 위원 등을 역임한 김형순[1886~1977, 애국장],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선장과장 등을 역임한 김용중[1898~1975, 애족장] 등이 있다. 특히 김호, 김형순, 김용중은 1920년 김형제상회[Kim Brother, Inc.]를 설립하여 번 돈으로 막대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현황

매년 메모리얼 데이와 광복절에 재미 중가주 해병대전우회 주도로 태극기 게양 및 묘지 관리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민병용, 『미주 이민 100년-초기 인맥을 캔다』(한국일보사 출판국, 1986)
  • 『국외 항일 운동 유적(지) 실태 조사 보고서』(문화관광부·독립기념관·한국근현대사학회, 2002)
  •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리들리 공동묘지(http://www.reedleycemetery.com)
  • 흥사단(http://www.yka.or.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