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데일 공동묘지

원어 항목명 Angelus-Rosedale Cemetery
영문 Angelus-Rosedale Cemetery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웨스트 워싱턴 블러바드 1831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4년
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웨스트 워싱턴 블러바드 1831
원어 항목명 Angelus-Rosedale Cemetery
원어 주소 1831 W. Washington Blvd., LA CA 90007, USA
영문 주소 1831 W. Washington Blvd., LA CA 90007, USA
성격 공동묘지
정의

188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건립된 독립유공자를 비롯한 재미 한인들이 다수 안장된 공동묘지.

개설

1884년 만들어진 로즈데일 공동묘지[Angelus-Rosedale Cemetery]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공동묘지로 이 지역에 정착한 초기 한인 280여 명이 안장되어 있다. 특히 독립 유공 훈장을 받은 독립유공자가 다수 묻혀 있어 로즈데일 공동묘지가 갖는 의미가 더욱 크다.

건립 경위

로즈데일 공동묘지는 1884년 건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는 사설 묘지이다. 로즈데일 공동묘지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유독 동양인을 비롯한 유색 인종이 많이 묻혀 있다. 미국은 20세기 중반까지도 인종 차별이 매우 심했고, 초기 한인들은 백인들이 묻히는 좋은 지역의 묘지에 묻힐 수 없었다.

변천

미주이민 100주년 기념사업회는 2002년 제1회 애국선열추모제를 열었고, 2007년까지 애국선열추모제를 진행하였다.

구성

장례, 매장, 화장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공동묘지로, 약 65에이커 면적에 재미 한인 외에도 65,000여 명이 매장되어 있다.

현황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로즈데일 공동묘지에 묻힌 애국지사를 위한 참배 및 헌화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로즈데일 공동묘지에 묻힌 독립유공자는 송헌주[1880~1965, 독립장], 최진하[1890~?, 독립장], 한시대[1889~1981, 독립장], 홍언[1880~1951, 독립장], 백일규[1880~1962, 독립장], 강혜원[1886~1982, 애국장], 김성권[1875~1960, 애족장], 임치호[1873~1951, 애족장] 등이 있다. 독립유공자 외에도 노재연[1882~1967], 차상달[1905~1992], 이성례[1884~1963], 김병국[1877~1960], 김성실[1903~1958], 김중수[1889~1958], 박해나[1872~1952], 임인재[1895~1971], 임준기[1883~1954], 임광명[1880~1969], 선우현, 신우도사, 송재윤 등이 묻혀 있다.

참고문헌
  • 『국외 항일 운동 유적(지) 실태 조사 보고서』(문화관광부·독립기념관·한국근현대사학회, 2002)
  • 민병용, 『애국지사의 꿈』(밝은미래재단·한인역사박물관·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2015)
  • 민병용, 『미주 이민 100년-초기 인맥을 캔다』(한국일보사 출판국, 1986)
  •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로즈데일 공동묘지(www.angelusrosedale.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