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English Language Test |
---|---|
영문 | English Language Test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캐나다 |
시대 | 현대/현대 |
시행 시기/일시 | 1967년 |
---|---|
원어 항목명 | English Language Test |
캐나다 경제 이민 지원자가 영주권을 신청하기 전에 응시해야 하는 영어 구사 능력 시험.
영어 검증 시험은 1967년 캐나다 정부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외국인 우수 인력을 영주권자로 선발하고자 도입한 이민자 점수제[point system]의 평가 항목 중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제도이다.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항목에 대한 개별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영어 검증 시험은 이민자들의 캐나다 공용어 구사 능력이 노동 시장에서 성과와 사회 적응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에서 캐나다 이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즉 경제 이민을 선별 수용하기 위한 제도로서 캐나다 경제 이민(Economic Class) 지원자가 영주권을 신청하기 전에 응시해야 하는 영어 구사 능력 시험이다.
1967년 캐나다 정부가 이민 문호를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출신 이민자들에 개방하고, 외국인 우수 인력 유치를 목적으로 점수제를 처음 도입하였다. 점수제는 캐나다 영주 이민 지원자 중 가족 초청 이민과 난민을 제외한 경제 이민 유형을 선발하는 방식이다. 이민 신청자의 교육 수준, 공용어[영어와 불어] 구사력, 직업 경험, 연령, 캐나다 내 취업 예정 여부, 적응력 등 6가지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일정 점수 이상을 얻은 신청자에게 영주 이민 비자를 발급하였다. 1990년대 초반 이래 교육 수준, 경력, 언어 능력 등 인적 자본이 우수한 이민자일수록 노동 시장에 잘 적응하여 장기적으로 캐나다 사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 아래 인적 자본 모델에 기초한 점수제를 강화하였다. 특히 공용어 구사 능력을 이민자들의 구직과 고용, 사회 적응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평가하면서 캐나다 공용어[영어와 불어] 구사력의 점수와 비중을 상향 조정하였다.
캐나다 영주 이민 희망자는 캐나다 이민부가 인정하는 언어 능력 시험에 응시하여 시험 결과를 이민 신청서와 함께 제출해야 한다. 2017년 현재 캐나다 연방 정부가 인정하는 영어 검증 시험은 CELPIP[Canadia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dex Program, 캐나다가 자체 개발·운영하고 있는 시험으로서 캐나다 국내에서만 응시 가능]와 IELTS[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 전세계 140개국 이상 1,000개 이상의 장소에서 응시 가능]로서,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항목에 대한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2002년 6월 28일 이민법을 새롭게 개정했다. 직업 가산점이 없어지고 언어, 학력, 캐나다 경험 등의 점수 비중이 높아졌다. 이전 이민법 체제에서 캐나다 한인 이민자들은 이민 점수를 60점 이상만 받으면 합격이 되는데 직업 평가에서 36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새 이민법에서는 직업 가산점이 사라지고, 합격점이 75점으로 높아졌으며, 언어, 학력, 캐나다 경험 등의 점수 비중이 높아졌다. 새 이민법 아래 캐나다로 경제 이민을 가려면 한인들은 영어 만점에 불어까지 보통 실력이 요구되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통계청에 따르면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정착한 한인 이민자는 1999년 2,079명, 2000년 2,122명, 2001년 2,808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었고, 앨버타 통계청에 따르면 앨버타주에 정착한 한인 이민자는 1999년 502명, 2000년 641명으로 집계됐다.
캐나다 이민자들이 구직과 고용, 그리고 사회 적응에 매우 긍정적인 성과를 내는 데 영어 검증 시험이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2000년대 초 이후 영어 능력 점수가 상향 조정되면서 한인 이민들을 비롯한 비영어권 신청자들의 영주 이민 합격률이 하락하였다. 따라서 영어 점수의 상향은 2004년 이후 한인 이민자 수가 감소한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