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 발기 모임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6년
발생|시작 장소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성격 사회운동
정의

198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국제 서울 공원에서 미주 지역 18개 단체가 한국 정부의 민주 통일 운동 탄압 및 건국대학교 농성 학생 강제 해산 등을 규탄하기 위해 개최한 모임.

개설

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위원장 김완흠]는 미주 지역 18개 단체가 가입한 위원회이다. 1980년대 한국의 민주 통일 운동을 지지하고 한국 정부의 민주 통일 운동에 대한 탄압을 규탄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는 1986년 발기 모임을 로스앤젤레스 국제 서울 공원에서 개최하고, 한국 정부의 민주 통일 운동 탄압 및 건국대학교 농성 학생 강제 해산 등을 규탄하였다.

역사적 배경

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는 5·18 민중 항쟁을 계기로 하여 미주 지역의 18개 단체가 가입하여 조직된 위원회이다. 1980년대 한국의 민주 통일 운동을 지지하고 한국 정부의 민주 통일 운동에 대한 탄압을 규탄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경과

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는 발기 모임을 1986년 로스앤젤레스 국제 서울 공원에서 개최하였고, 1987년 1월 30일에는 박종철 추모식 및 고문 정권 규탄 궐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결과

민주통일운동탄압저지대책위원회에는 총 18개 단체가 모여 결성되었다. 가입 단체를 살펴보면, 조국민주회복남가주국민회의, 장준하선생기념사업회, 민통연합 나성 위원회, 한국민주통일협의회, 통일촉진회, 봉선화어머니회, 한민련 서부지회, 나성 한국청년연합[민족학교], 귀향회, 대한여자애국단, 기독교사회정의구현, 대한인국민회, 민족화해연구소, 교포문제연구소, 4·19 선양회, 광주수난자돕기회, 남가주 개헌추위, 백범기념사업회가 있었다.

참고문헌
  • 성석제 외, 『100년을 울린 겔릭호의 고동소리: 미주 한인 이민사 100년의 사진 기록』(현실문화연구, 2007)
  • 민족학교(http://krcla.or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 아카이브(http://archives.kdemo.or.kr)
  • 한인역사박물관(http://kahistorymuseum.org)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