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미주 서부 한인 사회 운동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사회운동
정의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등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지형의 변화로 전개된 미주 한인들의 사회 운동.

개설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으로 변화된 남북 관계는 미주 한인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기존 통일 운동 단체들은 북한의 해외동포원호위원회와 교류하고 한국의 사회 운동 단체들과도 연대하는 등 더욱 활발한 활동을 펼쳐 나갔다. 한편, 미주 한인교회연합으로 대표되는 기독교 단체들은 북핵 문제와 북한 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며 미국에서 북한 인권법이 제정되는 데 일조했다. 미주 서부 한인의 사회 운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은 남북 관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남북 관계의 변화는 미주 한인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끼쳐 기존 통일 운동 단체들도 2000년대에 들어 활발한 활동을 펼쳐 나가게 된다.

경과

2001년 재미동포전국연합과 자주민주통일미주연합은 미주동포전국연합과 재미민족운동단체협의회를 구성하여 연대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1988년 설립된 미주 청년조국통일협의회는 2001년 조직을 해체하고 통일맞이나성포럼을 새롭게 결성하였다. 이러한 통일 운동 단체들은 북한의 해외동포원호위원회와 교류를 하며 통일 운동을 전개하였고, 한국의 사회 운동 단체들과도 연대하며 활동 범위를 확장하였다.

결과

통일 운동 단체와는 달리 보수적인 기독교 지도자들은 북핵 문제와 북한 인권 문제 등을 제기하며 북한과 적대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대표적인 활동 단체로 미주 한인교회연합[Korean American Church Coalition for North Korea Freedom, KCC]이 있다.

의의와 평가

미주 한인교회연합은 2004년 9월 로스앤젤레스에서 제1차 대회를 개최한 후 다수의 집회와 기도회를 열어 미국에서 「북한 인권법」이 제정되는 데 일조하였다. 미주 서부 한인의 사회 운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 노길남 외, 『미주 동포 민족 운동 100년사』(일월서각, 2009)
  • 최협, 『다민족 사회, 소수 민족, 코리안 아메리칸: 재미 한인 사회에 대한 사회 인류학적 접근』(전남대학교 출판부, 201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