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미국 서부 한인 사회 운동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1980년 광주 5.18민주화운동 이후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의 형태로 새롭게 전개된 미국 서부지역 한인들의 사회운동.

개설

1980년대 미주 서부 한인 사회운동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한국 민주화 운동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고,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역사적 배경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한국 민주화 운동 등의 영향을 받아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우선 통일 운동은 미국 정부의 대북 정책 변화와 맞물려 북한과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고, 이러한 통일 운동은 국제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경과

1987년 2월 조국통일북미주협회[대표 양은식]가 결성되어 북한과 공식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다양한 교류 활동을 전개하였다. 청년 운동은 미국으로 망명한 윤한봉 등이 중심이 되어 1984년 결성된 재미한국청년연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풀뿌리 운동을 지향한 재미한국청년연합은 청년층의 참여와 운동의 생활화, 민족 교육, 민족 문화 운동의 활성화, 국제 연대 운동, 평화 운동 등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과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은 사회운동의 세대교체와 함께 체계적이고 대중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고, 국제적 연대 활동이 활성화되는 등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에서 미주 서부 한인 사회운동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양한 단체가 미주 서부 지역에서 결성되었고, 민족 통일 심포지엄의 결과를 담은 『분단을 뛰어넘어』가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판되기도 하였다. 또한 1983년 로스앤젤레스 민족학교 설립으로부터 1980년대 미주 한인 청년 운동이 전개되었고, 재미한국청년연합이 198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되는 등 미국 서부 지역은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참고문헌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 임채완 외, 『재외 한인 단체의 형성과 현황』(집문당, 2007)
  • 양영균 외, 『다민족 관계 속의 LA 한인』(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노길남 외, 『미주 동포 민족 운동 100년사』(일월서각, 2009)
  • 최협, 『다민족 사회, 소수 민족, 코리안 아메리칸: 재미 한인 사회에 대한 사회 인류학적 접근』(전남대학교 출판부, 2011)
  • 유의영, 「미주 동포의 민주화, 통일 운동 약사」(『미주 한인이민 100년사-아메리칸 드림을 찾아서』, 한미동포재단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남가주 기념사업회, 200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