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
시대 | 현대/현대 |
1980년 광주 5.18민주화운동 이후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의 형태로 새롭게 전개된 미국 서부지역 한인들의 사회운동.
1980년대 미주 서부 한인 사회운동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한국 민주화 운동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고,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한국 민주화 운동 등의 영향을 받아 통일 운동, 청년 운동 등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우선 통일 운동은 미국 정부의 대북 정책 변화와 맞물려 북한과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고, 이러한 통일 운동은 국제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은 사회운동의 세대교체와 함께 체계적이고 대중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고, 국제적 연대 활동이 활성화되는 등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에서 미주 서부 한인 사회운동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양한 단체가 미주 서부 지역에서 결성되었고, 민족 통일 심포지엄의 결과를 담은 『분단을 뛰어넘어』가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출판되기도 하였다. 또한 1983년 로스앤젤레스 민족학교 설립으로부터 1980년대 미주 한인 청년 운동이 전개되었고, 재미한국청년연합이 198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되는 등 미국 서부 지역은 1980년대 미주 한인 사회운동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