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在美韓國靑年聯合 |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84년 1월 1일 |
---|---|
성격 | 청년 단체 |
설립자 | 윤한봉 |
1984년 1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에서 결성된 재미 한인 청년 운동 단체.
재미한국청년연합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수배자였던 윤한봉이 1981년 밀항을 통해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설립된 단체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1984년 1월 1일 뉴욕, 시카고, 시애틀, 로스앤젤레스 등지에서 온 청년들과 함께 풀뿌리 운동을 전개하여 미주 청년 운동을 활성화할 목적으로 발기했다. 재미한국청년연합의 활동으로 인해서 미주 한인 사회에서는 새로운 사회 운동의 전기가 마련되었다. 재미한국청년연합은 운동의 생활화를 중시하고 민족 교육 및 민족 문화 운동을 실천하였으며, 밖으로는 다양한 국제적 연대 운동을 확대하는 한편 평화 통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월간지 『문화교육통신』과 격월간지 『코리아리포트(Korea Report)』[영문]를 통하여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실시하였다.
재미한국청년연합은 미주에서 청년 운동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풀뿌리 운동을 지향하였다.
재미한국청년연합은 1970년대 명망가 중심의 운동 방식에서 벗어나 청년층의 헌신적인 참여와 운동의 생활화를 중시하였다. 아울러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서 등한시되었던 민족 교육 및 민족 문화 운동을 포함하였으며, 모국의 운동 조직 및 미국의 사회 운동 단체, 그리고 필리핀·남미·유럽 등지의 평화·인권 단체와 긴밀한 교류를 통해 다양한 국제 연대 운동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평화 운동을 미주 한인 사회의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한반도 내의 미국 핵무기 및 주한 미군의 철수, 평화 협정 체결 및 남북한의 군비 축소 등을 촉구하는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운동을 전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단체에 비해 매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했는데, 월간 『문화 교육 통신』과 격월간 영문 『코리아 리포트』를 발행하였다.
1993년 윤한봉이 수배에서 풀려나 귀국한 후에도 조직명을 바꾸지 않고 꾸준히 활동하였다. 이것은 남북한 정권이나 세력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는 풀뿌리 조직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