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소수 민족 이론

원어 항목명 Middleman Minority Theory
한자 中間少數民族理論
영문 Middleman Minority Theory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Middleman Minority Theory
정의

미국 사회에서 지배 세력인 백인과 피지배 세력인 흑인·라틴계 사이에서 완충 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재미 한인과 같은 중간 소수 민족이 지배 세력에 대한 피지배 세력의 원성을 대신 사게 된다고 설명하는 이론.

개설

1965년 미국의 신(新)이민법 제정으로 비유럽계 이민에 대한 문호가 개방되자, 1970년대부터 한인을 비롯한 아시아계와 라틴계 이민이 본격적으로 급증하여 미국의 인구 구성을 다변화시켰고 미국 사회의 인종 관계도 기존의 흑·백 관계에서 다인종·다민족 간 관계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런 맥락에서 1970년대에는 미국 내 중국 이민을, 1980년대에는 한인 이민을 중간 소수 민족으로 파악하여 이들의 사회 경제적 적응과 성장을 설명하려는 연구가 대두하였다.

역사적으로 중간 소수 민족은 엘리트와 대중 사이의 신분 격차가 크고 엄격한 계서제(階序制)의 전(前) 산업 사회에서 통상이나 징세, 대금업과 같은 중개인 직업에 주로 종사하며 사회 경제적으로 중간적 위치와 역할을 차지했는데, 중세 유럽의 유대인, 동아프리카의 인도인, 동남아시아의 중국인 화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중간 소수 민족 이론과 재미 한인과의 관련성

1970년대 초 대학 교육을 받고 화이트칼라 직종에 종사한 도시 중산층 출신의 재미 한인들은 모국보다 나은 삶의 질과 교육 기회, 그리고 사회 경제적 신분 상승을 기대하며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언어 장벽, 한국에서 받은 교육과 미국 직업 간의 불일치, 문화적 차이, 미국 사회에 대한 몰이해, 이민과 소수 인종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화이트칼라나 전문직 일자리 획득에 실패한 뒤, 보다 높은 소득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자영업에 종사하기 시작하였다.

한인 이민자들은 미국 대기업과 백인 상인들이 투자하기 꺼려하는 대도시의 흑인과 라틴계 저소득층 주거 지역에 들어가 소자본으로 창업, 상권을 형성해 나갔다. 주로 식품점, 주류 소매상, 아시아 수입품 소매상, 세탁소, 주유소, 청소업 등에 종사하면서 상권을 장악해 나간 한인 상인과 흑인 소비자 간에 크고 작은 분규가 이미 1980년대에 빈번히 발생하였다.

1992년 4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일어난 인종 폭동[4·29 폭동]은 ‘한·흑 갈등’이 폭발한 획기적인 사건이다. 이때 일단의 연구자들은 한·흑 갈등의 주요 원인을 중간 소수 민족 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즉 미국 사회에서 한인 상인들이 중간 소수 민족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흑인과 라틴계 주민의 공격 대상이 된다는 분석이다. 소매업과 서비스 업종에 집중해 있는 한인들이 유통 구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소비자를 직접 상대함으로써 종종 흑인과 라틴계 소비자들의 불평 대상이 되고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는 것이다.

미주 한인 사회에 중간 소수 민족 이론의 적용에 대한 평가

이와 같이 중간 소수 민족 이론은 미국으로 이주한 재미 한인의 사회 경제적 적응과 성장 과정, 그리고 위상을 설명하고, 흑인·라틴계 저소득층과의 인종 갈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시간이 흐를수록 재미 한인의 직업과 사업 유형이 다양해지고 동포 사회의 계층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중간 소수 민족 이론이 한인 1세대 이후 세대에는 적용하기에 무리가 따르고, 또한 결과적으로 한인을 대도시 흑인들이 처한 경제적 곤궁의 원인으로 규정함으로써 한·흑 관계에 대하여 과도하게 부정적인 정치적 함의를 수반하게 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참고문헌
  • 윤인진, 『세계의 한인 이주사』(나남, 2013)
  • 정경희·이인표, 「재미 한인의 사회경제적 성장: 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미국학논집』36-3, 한국아메리카학회, 2004)
  • 신의항, 「미국 한인 동포 사회와 타 인종 집단 간의 불평등」(『북미주 한인의 역사』상, 국사편찬위원회, 2007)
  • 장태한, 「한인과 타인종·타민족의 관계 변화」(『북미주 한인의 역사』상, 국사편찬위원회, 2007)
  • Edna Bonacich, 「A Theory of Middleman Minorities」(『American Sociological Review』38-5,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7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