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한인 사회와 한국 사회와의 상호 교류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미국 서부 지역을 비롯한 재미 한인 사회와 한국 사회와의 상호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상.

개설

국제화, 지구화 시대를 맞아 미국 로스앤젤레스 코리아 타운 등 재미 한인 공동체와 한국 사회와의 교류가 나날이 중요해지면서 한국 사회와의 상호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다.

미주 한인 사회와 한국의 상호 교류 계기

교통과 통신의 발전으로 심리적 거리가 점차 줄어들면서, 미국 내 한인 사회와 대한민국 사회와의 경제, 문화의 상호 교류가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200만 명이 넘는 재미 한인들은 100여 년이 넘는 미국 이민 역사 속에서 독자적인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재미 한인 중 87%는 한국에 가족이 있고 모국과 지속적인 관계를 원하고 있다. 또 민족적 자긍심이 높고 정서적으로 한국 사회에 깊은 유대감을 지니고 있다.

물리적 거리는 변화가 없지만 교통과 통신의 발전, 특히 인터넷의 혁신적인 변화는 교민 사회와 한국 사회의 심리적 거리를 비약적으로 단축시켰다. 고향에 대한 향수를 지닌 이민 1세대뿐 아니라, 한국 사회와 상대적으로 단절되어 있던 이민 1.5세대, 2세대 한인들은 각종 미디어와 다양한 루트를 통한 접촉이 쉬워지고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 2000년대 이후 드라마와 아이돌 그룹의 이른바 ‘한류’도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교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경제에만 집중되어 있던 재미 한인 사회와 한국 사회 상호 교류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정치까지로 관심이 넓어지는 등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2017년 현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을 비롯하여 민간에 이르기까지 재미 한인 사회와 한국 사회의 상호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서부 지역과 한국의 문화 교류 사례

한국 사회와 미국 서부 지역의 한인 사회 간의 문화 교류 사례로는 대표적으로 에코 파크의 연꽃축제를 들 수 있다. 2017년은 대한민국이 호스트 국가로 참가하였다. 2017년 7월 15일과 16일에 로스앤젤레스 코리안 타운 인근 에코 파크에서 개최되는 연꽃축제[Lotus Festival]에 재미 한인 사회를 대표하여 이정임 무용원과 문화사랑 장구학당(Jang-Ku-Hak-Dang), K팝 가수들이 출연하여 부채춤, 알쏭달쏭 탈춤, 검무 등 한국 무용과 모듬북 사물놀이, K-팝 공연 등의 행사를 가졌다. 특히 이정임 무용원은 1998년도부터 축제에 참가하여서 한국 무용 공연을 통해 캘리포니아 주민들에게 한국 문화를 소개해 왔다. 연꽃축제는 2017년으로 37주년을 맞이했다. 매년 10만여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여하는 남부 캘리포니아 아시안 태평양 커뮤니티의 최대 문화 교류의 장이자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동안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각국의 민속 무용 공연과 전통 예술 시범 및 전시회가 펼쳐졌다

참고문헌
  • 임영상 외, 『코리아 타운과 한국 문화』(북코리아, 2012)
  • 김태기, 「재미 교포 경제와 한국과의 경제 교류 가능성 분석」(『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35,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0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