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한인 노인의 의사소통망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정의

재미 한인 노인의 의사소통망으로서 노인 아파트와 교회가 주된 역할을 하고 이에 비해 가족의 비중이 낮은 현상.

개설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미국 서부 지역에 정착한 고령자들은 언어적인 문제로 의사소통망을 구축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대체로 한인 교회나 노인 아파트 커뮤니티가 주된 의사소통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성을 강조하는 이질의 세계에서는 언어를 포함하여 문화적 위화감으로 의사소통망을 구축하고 유지하기가 더 어렵다.”라는 평가처럼 이민자들은 이주한 사회에서 기본적 생활을 위한 의사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1965년 미국의 이민법 개정 이후 한인들의 이주 이민이 급증하면서 자녀들을 따라 동반 이주를 선택하거나 초청, 방문을 통하여 미국에 정착한 노인 부모 세대들도 증가하였다. 재미 한인 노인들은 언어와 이질적 문화의 차이로 사회 소통이 단절될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도 소통에 어려운 문제를 겪었다. 대부분 자녀들은 생계 유지를 위해서 장시간 근무지에 있고, 손자녀 세대와는 언어 문제로 원만한 소통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은 이민 생활의 어려움을 언어 문제, 외로움, 교통 문제로 인한 단절감, 경제 및 문화 갈등 순으로 답변하였다. 최근에는 미국 이민 1세대도 고령화하고 사회 활동에서 벗어나면서 이들의 소통망 부재도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자녀와 분가하여 유사한 처지의 노인들이 모여 사는 노인 아파트로 이주하면서 외로움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집단 거주를 통하여 상징적 활동이나 물적 교환을 할 기회가 많고 노인들을 위한 복지와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의사소통망이 확장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고령자의 대부분이 종교 생활을 하고 있고 한인 교회나 성당에 출석하고 있다. 이는 종교적인 이유도 있겠으나, 한인끼리의 교류와 의사소통이 더 큰 목적으로 보인다.

재미 한인 노인 의사소통의 사례

북미 서부 지역 한인 노인의 원활한 의사소통망의 사례로, 산호세 지역의 하늘선교봉사회는 자원봉사자들의 재능 기부를 모아 지닌 17년 동안 양로 병원 노인 환자 돌보기 봉사와 노인 아파트 김치 나누어 주기 등의 봉사 활동을 하였다. 최근에도 하늘선교봉사회는 매월 첫 토요일에는 산호세 스카이라인 양로병원에서 문화 예술 단체를 초청, 노인 환자 위로 공연을 주최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응렬, 「재미 한국 노인의 의사소통망」(『한국학연구』12,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0)
  • 전은영 외, 「미국 이민 한국 노인의 우울 및 건강 상태 분석」(『노인간호학회지』7-2, 노인간호학회, 200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