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2세대의 대도시 근교 이주

원어 항목명 Suburbanization
영문 Suburbaniz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Suburbanization
정의

1950년대 이후 경제적 신분 상승에 따른 한국계 미국인 2세와 3세의 대도시 근교 이주 현상.

개설

제2차 세계 대전은 한국계 미국인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다. 재미 한인들은 전쟁 특수를 누리고 주류 경제 내에서 일자리를 얻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돌아온 경우에는 일명 미국사병권리장전[G. I. Bill]을 통해서 퇴역 군인의 경우에는 그간 진입 장벽에 높았던 고등 교육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법제적으로는 시민권이 없는 외국인들의 토지 소유를 금하는 「외국인토지법[Alien Land Acts]」이 1948년 오야마(Oyama)와 캘리포니아주 간의 소송을 통해서 미국 연방법원이 기각을 시켰고, 백인과의 결혼이 허락되고 한국인과 일본인들도 시민권 자격을 부여하게 했던 1952년 「맥캐런-월터법[McCarren-Walter Act]」이 통과되었다. 더 나아가 거주지와 직업 기회, 그리고 공교육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 1959년의 「웅러시민권법[Unruh Civil Rights Act]」의 제정·시행되기에 이르자, 가령 캘리포니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한국계 미국인들은 이제 거주지의 선택과 직업 기회의 확대, 그리고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재미 한인 사회가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기회와 정치적 권리의 확대 기조 속에서 특히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는 1950년대 이후로 코리아타운이 급성장하기에 이른다. 본디 코리아타운 지역은 처음에 하와이의 한인 노동자들이 1905년 이후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같은 미국 본토 서부 지역으로 재이주하는 과정에서 형성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초에 로스앤젤레스 지역 남부에 흑인의 증가로 인해 백인들이 감소하자, 그 공백을 한인들이 채워가면서 점차 코리아타운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코리아타운은 에스닉 커뮤니티적인 성격을 강하게 갖고서 하나의 단일한 인종적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앞선 언급한 일련의 「차별철폐법」과 코리아타운의 성장으로 인해 점차 중산층을 형성하기 시작한 재미 한인들은 양질의 교육 환경과 생활 환경을 위해서 다운타운에서 벗어나 점차 외곽 지역으로 주거지를 옮겨 가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현상이 빚어진 데에는 재미 동포 2세·3세들이 점차 미국을 자신의 조국으로 여기게 된 반면, 재미 한인 사회에 대해서는 계속되는 분열과 갈등에 지쳐서 실망하였으며, 그로 인해 조국의 통일에 대한 기대를 빠르게 저버리게 된 요인도 작용하였다. 그 결과 재미 한인 가운데서 코리아타운을 벗어나 대도시 근교로 이주하는 사람, 다른 인종과 결혼하여 한국인 사회를 벗어나는 사람이 점증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초 한국계 미국인 3세 중 혼혈이 아닌 한국인은 불과 27%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참고문헌
  •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 아메리칸 드림을 찾아서』(한미동포재단·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남가주 기념사업회, 2002)
  • 김창범, 『미주 한인 이민 100년사』(코람데오, 2004)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