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계승

원어 항목명 Ethnic succession
한자 民族繼承
영문 Ethnic success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미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Ethnic succession
정의

미국에서 재미 한인들이 교외로 이주하면서 생겨난 사업 및 주택 공백을 신 이민자들이 채우는 현상.

개설

민족 계승은 재미 한인들이 사회 경제적으로 신분 상승을 이루고 교외로 이주하면서 생겨난 사업 및 주택 공백을 베트남인, 멕시코인, 중국인 같은 신 이민자들이 채우는 현상이다.

미국으로 이민 온 이민자 대부분에게 민족 공동체는 초기 정착에 필요한 물적, 정신적 토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민족 공동체의 정착 토대는 그것에 기반을 두고 주류 사회로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는 신규 한인 이민자 중에는 도심의 코리아 타운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교외에 거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재미 한인들의 교외화 현상은 1990년대부터 가속화되었다. 1990년에는 로스앤젤레스 전체 한인 가운데 30%가 코리아 타운에 거주하였지만, 2000년에는 23% 이하로 떨어졌다. 한인 이민자들은 자영업을 통해 빠르게 경제적 신분 상승을 이루면서 백인 중산층이 거주하는 여러 교외 지역으로 이주하여 상당히 넓은 지역에 흩어져 생활권을 형성하였다.

또한 코리아 타운에 거주하는 한인과 외곽 교외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 사이에는 커다란 경제적 격차가 존재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생활이 어려운 한인 이민자들이나 한인 저소득층은 열악한 코리아 타운의 중심지에 자리 잡았다. 아울러 코리아 타운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실제 거주자들은 재미 한인이 아닌 다수가 라틴계 이민자들이며, 그 밖에 여러 인종들이 분포하고 있다. 실제로 재미 한인보다 멕시코인, 베트남인 등 비(非)한인이 더 많다. 코리아 타운은 재미 한인들의 주거 기능을 하는 중심지라기보다는 상업 및 행정 중심지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재외 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 『북미주 한인의 역사』(국사편찬위원회, 2007)
  • 박민영 외, 『기록으로 보는 재외 한인의 역사: 이주와 정착 그리고 발전의 시간들-아메리카』(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1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