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에스더

분야 종교/기독교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2년
몰년 시기/일시 2001년 1월 30일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성격 시민운동가
성별
정의

미국 하와이와 한국에서 활동한 시민운동가이자 여성지도자.

개설

박 에스더는 1904년 부모를 따라 하와이로 이민하였다. 하와이 한인들을 위한 최초의 감리교 목사이던 아버지가 구약의 에스더처럼 민족을 위해 일하는 여성이 되라고 에스더라는 이름을 주었다.

박 에스더는 1926년 하와이대학을 졸업하였고, 1928년 미국YWCA연합회 간사양성과정을 수료하여 유색인 최초로 YWCA 전문직 간사가 되었다. 1947년, 미국 이민 44년 만에 미국YWCA가 파견한 고문 총무로 귀국하여 평생을 여성지도자 양성에 매진한, 한국감리교회 출신의 시민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한국YWCA 회장이던 김활란 박사의 요청으로, 1947년 한국에 고문총무로 부임한 박 에스더는 맨처음 명동1가 1번지의 적산가옥을 인수하여 회관을 확보하였으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YWCA 본부는 정부를 따라 부산으로 피난했고, 박 에스더는 다른 미국인들과 미국으로 철수했다가 유엔에서 외원단체에 발급하는 단기여권을 입수하여 부산으로 재입국했다. 박 에스더는 영어와 한국어에 능숙하고 한국과 한국 문화 및 국제사정도 잘 알았기에 부산에서 교회와 외원단체들을 한국의 정부기관 및 관련단체와 연결하는 일을 담당했다. 또 미국YWCA와 세계YWCA에 편지로 한국 상황을 알려 각국 YWCA의 원조를 받았다.

한국전쟁 후에는 여성의 직업과 노동에 관한 정책을 발표하고, 1970년대에는 가족법 개정운동과 타일, 도배, 페인트 훈련을 통한 여성 직종도 개발했다. 파출부 교육교재 개발과 돌봄노동 전문화, 시민인권과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1980년 미국 하와이의 양로원으로 거쳐를 옮겼고, 2001년 1월 3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4년 이화여자대학교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으며, 한국 재건국민운동 본부 외국인 유공자 표창을 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박 에스더의 공적을 기려 1966년 대통령 공익포장, 국민훈장 석류장을 추서했다.

참고문헌
  •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중앙M&B, 2003)
  • 「박에스더, 여성·빈민 두루 껴안은 ‘Y의 영원한 멘토’」(『국민일보』, 2013-01-30)
  • 「최용신과 박에스더」(『기독교타임즈』, 2005. 6. 2)
  • 김현자, 「한국여성운동과 박에스더 선생의 지도력」(200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