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尹漢琫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48년 |
---|---|
수학 시기/일시 | 1971년 |
활동 시기/일시 | 1983년 |
몰년 시기/일시 | 2007년 6월 2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 |
거주|이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학교|수학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
묘소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 |
성격 | 민주화 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민족학교 설립자 |
1981년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에 민족학교, 민족미래연구소 등을 설립한 민주화 운동가.
윤한봉의 부인은 신소하이다.
윤한봉은 1948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1971년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에 입학하였다가 1974년 4월 일어난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된 뒤 제적되었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주동 인물로 마지막 현상수배자로 지목되었고 1981년 4월 화물선 레오파드에 승선하여 40여 일 간의 항해 끝에 미국에 도착해 정치적 망명을 신청하였다. 윤한봉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도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해외 연대 운동 건설에 힘을 쏟았고, 1983년 민족학교, 1984년 한국청년연합, 1987년 재미한겨례동포연합을 설립하였다. 한국청년연합은 이후 시카고 한인교육문화마당집, 뉴욕 청년학교,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설립에 주축이 되었다. 윤한봉은 1987년 봄 로스앤젤레스 한인회를 개혁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나, 로스앤젤레스 동포 사회의 분열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87년부터 재미한국청년연합은 해외 한국청년운동연합체[해외한청년]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는데, 1992년 해외 운동 사상 최초의 청년운동연합체인 해외 한국청년운동연합체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재미한국청년연합은 14개의 강령을 두고 사회 운동을 펼쳤다. 윤한봉은 1993년 문민정부가 들어서자 1993년 5월 12년 간의 미국 정치 망명 생활을 청산하고 영구 귀국하였다. 2007년 6월 23일 사망하였다.
윤한봉의 저서로는 2009년 출간된 『망명: 윤한봉 회고록』이 있다.
윤한봉의 묘소는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국립 5·18 민주묘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