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택

한자 金裕沢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7년
수학 시기/일시 1909년
수학 시기/일시 1910년
수학 시기/일시 1915년
수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7년
활동 시기/일시 1928년
활동 시기/일시 1953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신천군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학교|수학지 미국 네브래스카주
학교|수학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시 에모리대학교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성격 의사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애국 청년 운동에 힘쓴 한인 의사.

개설

김유택(金裕沢)[1887~?]은 목사였던 아버지와 함께 하와이로 이민하여 에모리대학 의학 박사 취득 후 하와이에서 의사로 활동하면서 애국 청년 운동에 적극 임하였다. 이원순, 김찬제, 양유찬 등과 함께 애국청년운동에 적극 임했다.

가계

아버지는 김영식 목사이고, 형은 김유순 목사이다. 김유택은 형 김유순의 유고를 기리기 위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김유순 장학금’을 설치하고 기금을 출연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05년 18세 나이로 김유택은 아버지 김영식과 함께 이민 길에 올랐다. 감리교 목사인 형 김유순 목사[1882~1950]이 황해도 신천에서 출생한 것으로 되어 있어서, 김유택도 동일 지역 출신으로 추정된다. 1907년 미국 본토로 들어가 1909년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중학교에 입학했다. 1910년에는 23세 나이로 네브래스카의 하기군사학교[Summer Military Camp]인 헤이스팅스 한인소년병학교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13년 조지아주 에모리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915년 여름 에모리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919년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김유택하와이 초기 이민자로서 사회 활동 및 청년 운동에 적극 임하였다. 1927년에는 무궁화구락부를 창립하여 이승신[무궁화구락부 회장], 김찬제[무궁화구락부 부회장], 강영각[무궁화구락부 서기] 양유찬 등과 함께 활동하였고, 1928년 이원순, 김찬제, 양유찬, 민찬호 등과 함께 누아누 청년회[한인부 부이사장]에서 활동하였다. 1930년에는 하와이대학에 한국어와 한국 역사 등의 과목을 설치하기 위해 결성된 ‘한국 국어문화 및 역사위원회’ 발기인으로서 이승만, 양유찬 등과 함께 이름을 올렸다. 이어 1931년 9월 7일 “청년 운동으로 대대적으로 해 보기 위해 김유택 집에 모여 토론회”를 개최했다는 『신한민보』의 기사에서 호놀룰루의 김유택 집이 하와이 청년 운동의 중심 장소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용직 목사를 회장으로 선출하고, 강영악은 서기, 김유택은 사교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어 1931년 9월 29일 누아누 청년회 사교실에서 ‘하와이 청년운동후원회’를 개최하고 200여 명의 동포들이 모인 가운데 김유택이 그 취지를 설명하였다.

1953년 9월 18일자 『호놀룰루 애드버타이저』지에는 보건국이 김유택 박사를 나병 환자 주치의로 임명하였다는 보도가 게재되었다. “한국 출생의 미국 시민 김 박사는 1905년에 부모와 함께 이민 왔으며, 중학교부터 본토에서 공부하고, 1919년에 조지아 주 애틀랜타의 에모리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보스톤 시립병원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뉴욕 이티카 홱스톤 병원과 버팔로의 뉴욕 결핵병원에서 특별 훈련을 받았다. 그 후 하와이로 돌아와 지난 27년 동안 일반 진료를 보았다. 김 박사는 의학 공부를 시작할 때부터 나병에 관심을 가졌으며, 전 칼리히 나병환자 입원소를 자주 드나들었다. 김 박사는 일반 진료를 보면서 특히 피부병 환자를 많이 받았다.”라고 김 박사를 소개하고 있다.

김유택은 형 김유순 목사의 유고를 기리기 위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김유순장학금’을 설치하여 기금을 출연하였다. 김유택의 사망 시기는 미상이다.

참고문헌
  •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중앙M&B, 2003)
  • 안형주, 『박용만과 한인소년병학교』(지식산업사, 2007)
  • 『공립신보』(1907)
  • 『신한민보』(1909~1933)
  • 『태평양주보』(1941~196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