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

원어 항목명 Kim Kang
영문 Kim Ka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2년 10월 5일
수학 시기/일시 1921년
수학 시기/일시 1926년
수학 시기/일시 1936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학교|수학지 대한민국
학교|수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유니버시티 파크
원어 항목명 Kim Ka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 대표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활동한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김강(Kim Kang)은 영어명으로 ‘다이아몬드 김[Diamond Kim]’이라고도 하였다. 1921년 연합신학대학에 입학, 1926년 졸업하였다. 1928년 7월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콜로라도 광산학교를 졸업하였다. 1936년 9월부터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대학원에서 지질학 박사 과정을 밟았다. 1937년부터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에서 활동하고 냅코 프로젝트 훈련에 참가하기도 했다. 1946년 미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한 혐의로 재판받고 1955년 미국에서 추방되어 북한으로 입국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1902년 10월 5일 평안북도 용천군(龍川郡)에서 출생하였다.

활동 사항

1937년 7월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이경선, 최능익, 김혜란, 안석중, 곽임대, 최영순, 최봉윤, 선우학원, 신두식, 황사용 등과 함께 중국지원동맹[League to Aid China]을 결성하였다. 1937년 9월에 중국후원회 조직에 참여하여 일화 배척, 군수품 수출 반대, 선전 책자 발행, 강연회, 의연금 모금 운동을 이끌었다. 중국후원회는 1939년 8월에 각지의 중국후원회를 해소하고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로 개편하였다.

김강로스앤젤레스 미주후원회를 이끌었다. 회관인 의용관을 마련하고 기관지 『의용보』를 발간하고 반일 시위 운동과 반일 선전 활동, 재정 모금 활동 등에 주력하였다. 1940년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편제되자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연합회는 1942년 6월 30일 미주후원회 연합회를 해소하고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를 결성한 자리에서 총무로 선출되어 실질적으로 조직을 이끌었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 대표로 참여했으며 북미총지부 결성 초기에 기관지 『민족전선』을 발행하다가 1943년 10월 6일자로 신문명을 『독립[The Korean Independence]』으로 개칭하여 발행했다. 김강『독립』 신문의 주필로 임명되어 1955년까지 활동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1944년 4월 독자적인 외교를 위해 워싱턴 사무소 설치를 강행하자 북미대한인유학생총회와 함께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탈퇴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주총지부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참여파와 탈퇴파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1945년 1월 개최된 정기 총회에서 탈퇴파는 신두식을 위원장으로 하는 새 집행부를 출범시켰다. 충칭의 조선민족혁명당이 1945년 3월에 새 집행부의 조직을 인가하자 참여파들은 조선민족혁명당 북미총지부의 명칭을 유지한 채 충칭의 조선민족혁명당과의 관계를 단절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무 김강은 위원장 변준호와 함께 미주 조선민족혁명당에서 축출되었다. 1945년 1월 4일 미국 전략첩보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 OSS]에서 주도한 냅코 프로젝트(NAPKO Project)에 참가해 훈련을 받았으나, 일본 항복으로 냅코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못하고 1945년 9월 제대하였다. 1946년에 『독립』 신문의 발행인을 맡았으나 미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한 혐의로 미 하원의 조사를 받고 재판 끝에 추방 명령을 받았다. 이에 항소했으나 1950년 대법원 판결에서 추방 선고를 받고 이민국으로부터 출국령을 받았다. 1955년 미국 국회 조사 위원의 호출을 받아 조사를 받은 후 미국에서 추방당해 북한으로 들어갔다. 북한에서의 행적과 사망 일시는 알려진 바 없다.

참고문헌
  • 『국민보』(1955. 6. 22)
  • 선우학원, 『아리랑 그 슬픈 가락이여: 미주 이민 90년을 맞으며』(대흥기획, 1994)
  • 홍선표, 『자주 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 방선주, 「미주 지역에서 한국 독립운동의 특성」(『한국독립운동사연구』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3)
  • 최기영, 「1930~40년대 미주 기독교인의 민족 운동과 사회주의: 이경선을 중심으로」(『한국 기독교와 역사』2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 Eun Sik Ya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hanging World Order, Centa for Korean-American and Korean Student」(『Korean Revolutionary Nationlism in America: Kim Kang and the Student Circle, 1937~1956』,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199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