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환

원어 항목명 In Hwan Hwang
한자 黃仁煥
영문 In Hwan Hwa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추모 시기/일시 1997년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원어 항목명 In Hwan Hwa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총서기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황인환(黃仁煥)[?~?]은 하와이 한인합성협회, 대한인국민회 『국민보』 주필, 『태평양시사(太平洋時事)』 주필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하며 재미 한인들의 통합을 위해 힘쓴 독립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황인환하와이 한인합성협회 활동 중 1909년 북미 공립협회한인합성협회가 통합해 국민회로 재편되자 3월 오아후섬 와일루아지방회 회장을 사임하고 일반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13년 8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의 주간 신문인 『국민보(國民報)』 주필로 활약하며, 동포들의 문맹 퇴치 운동과 자녀들의 교육 장려, 독립운동 후원에 노력하였다. 1914년 2월 가와이[카우아이] 리후에지방회 대의원에 선임되었다. 1918년 11월 28일 호놀룰루에서 박용만과 동지들이 창간한 주간 신문 『태평양시사』 주필로 활동하였다. 1920년 하와이 한인적십자회에 가담하여 한인적십자회 하와이지부를 조직하였다. 1920년대 후반 황인환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인 백범 김구(金九)가 보낸 재정 부족으로 매우 어려운 지경에 처해 있다는 편지를 받았다. 이후 하와이 동포들에게 사실을 알리고 독립 의연금 모집에 앞장서는 등 독립운동 단체 지원에 헌신하였다. 1936년 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총서기와 재무(財務)로 선출되었으나 3월 총서기 일만 맡아 일하였다.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하고 군사 운동을 적극 후원할 목적으로 호놀룰루에 거주하는 주요 한인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찬무회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1964년 7월까지 활동 기록이 확인되나 사망일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황인환의 공적을 기리어 1997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김구, 『백범일지』(돌베개, 2005)
  • 방선주, 「박용만 평전」(『재미 한인의 독립운동』,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 『신한국보』(1909. 3. 16, 1909. 11. 16)
  • 『신한민보』(1920. 6. 11)
  • 『국민보』(1937. 9. 1)
  • 『태평양주보』(1963. 10. 25, 1964. 7. 3, 1964. 7. 31)
  • 『韓民』1, 12(中華民國上海 韓民社, 1936. 3. 15, 1937. 3. 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