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용

원어 항목명 Sar Young Whang
한자 黃思溶
영문 Sar Young Wha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2년
수학 시기/일시 1890년~1894년
몰년 시기/일시 1964년 3월 21일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의주군 위화면 상단리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활동지 멕시코
원어 항목명 Sar Young Wha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활동한 감리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황사용(黃思溶)[1882~1964]은 1899년 기독교 장로교에 입교하였다. 1905년 미국 하와이주로 노동 이민하여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가 되었으나 곧바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로 이주하여 공립협회에 가입하였다. 감리교 전도사로서도 활동하였고, 재미 한인들의 실업 발전을 기하고자 1908년 설립된 아시아실업주식회사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멕시코와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황사용은 아버지 황개정(黃改正)과 어머니 김씨 사이에서 8남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지성숙[헬렌]이며, 3남 1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황사용은 1882년 평안북도 의주군(義州郡) 위화면(威化面) 상단리(上端里)에서 태어났다. 1890년부터 1894년까지 한문 서숙에서 공부하였고 이후 땔나무를 베고 가축 기르는 일을 하다가 1899년 기독교 장로교에 입교하였다. 1904년까지 미곡상과 판목상 등에 종사하였다.

지성숙과 결혼하여 서울 근교에 살다가 1905년 하와이로 노동 이민하여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자가 되었으나 곧바로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였다. 샌프란시스코에서 공립협회에 가입하였으며 1908년까지 백인 가정의 하우스보이로 일하면서 신학 공부를 병행하였다. 1909년 1월 하와이 한인합성협회와 미주의 공립협회가 통합하여 국민회로 개편되었을 때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멕시코 거주 한인들의 비참한 현실이 북미 지방 동포 사회에 알려지자 4월 방사중(邦化重)과 함께 국민회 북미총회 멕시코 순행위원(遣墨委員)으로 임명되었다.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Merida)로 파견되어 국민회 메리다지방회를 설립하고 멕시코 한인 사회 여러 곳을 순행하고 1910년 1월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왔다. 멕시코 한인의 실정을 전파하고 멕시코 한인들에게 민족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큰 역할을 하였다. 1911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에 임명되어 멕시코 한인들을 하와이로 이주시키려고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1910년 2월 중앙총회 부회장, 1912년 중앙총회 총무를 역임하였다. 1913년 5월 30일 흥사단에 입단하였다. 맨티카 순행 전도사로도 임명되어 미주 각지를 순행하며 기독교를 전도하였다. 1916년에 강영대, 송종익과 함께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대표원으로 임명되었고 1917년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남가주 순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19년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과 하와이 교민들의 결속을 위해 강영소와 함께 하와이로 건너가 와히아와 와일루아 그리고 카후쿠 지역의 한인감리교회에서 목회를 하였다. 1922년 11월부터 1923년까지 약 6개월간 한국을 방문하여 각종 강연회를 개최하며 민족 운동을 활성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1930년 로스앤젤레스 감리교회에 부임하여 독립운동과 기독교 정신을 심어 주었다. 이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에 가입하였고 기관지 『독립』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3년 샌프란시스코회의 대표단 대표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합 국회의 대표로 활동하면서 미국·하와이·멕시코·쿠바의 동포가 일치하여 군사 운동에 전력할 것을 주창하였다.

해방 후에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 활동을 하다가 국가 건설 운동에 참여하고자 가족을 두고 홀로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황사용은 말년에 경기도 남양주에서 머물렀으며, 1964년 3월 21일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 「황사용 흥사단 이력서」(독립기념관)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이경원 외, 『외로운 여정: 육성으로 듣는 미주 한인 초기 이민사, 하와이에서 유카탄, 쿠바까지』(장태한 옮김,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 박종연, 「재미 한인 황사용의 민족 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72,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 『신한민보』(1908. 10. 21, 1909. 4. 28, 1909. 5. 12, 1909. 12. 22, 1910. 2. 2, 1916. 10. 26, 1916. 11. 2, 1917. 5. 31)
  • 『동아일보』(1922. 11. 28, 1922. 12. 23, 1922. 12. 27, 1923. 1. 8, 1923. 1.31, 1923. 2. 9, 1923. 2.19, 1923. 3.18, 1923. 4. 23)
  • 『국민보』(1944. 11. 2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