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마리아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5년
몰년 시기/일시 1937년 8월 5일
추모 시기/일시 2017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묘소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누우아누 애비뉴 2233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부인구제회 설립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개설

황마리아[1865~1937]는 1903년 하와이에 노동 이민하여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였다. 1913년 4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국어 교육 장려와 일화(日貨) 배척과 기독교 전도와 사회 개량을 목적으로 대한인부인회(大韓人婦人會)를 조직하고 재무에 취임하여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부인구제회, 하와이 한인협회, 와히아와 미감리교회 부인보조회에서 활동하며 재미 한인의 국어 교육과 사회 개량 및 조국 독립을 위해 힘쓴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황마리아는 평양 출신 강익보(康翊晉)와 혼인하여 3남 2녀를 두었으나, 1903년 5월 13일 맏딸 강혜원과 둘째 아들 강영승만 데리고 하와이 호눌룰루로 이주하였다.

활동 사항

황마리아는 1865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1903년 5월 13일 하와이로 이주하여 가피올라니(Kapiolani) 농장과 에와(Ewa)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였다. 1909년 일제 병합 반대 의연금 모금에 참여하였고, 1913년 4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국어 교육 장려와 일화 배척, 기독교 전도와 사회 개량을 목적으로 대한인부인회를 조직하고 재무에 취임하였다. 1919년 3·1 만세 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3월 15일 하와이 각 지방의 부녀 대표자 41명이 모여 호놀룰루에서 공동대회를 열었다. 3월 29일 제2차 대회를 열고 조국 독립운동 후원의 목적으로 하와이 각 지방의 한국 부녀를 규합하고 부녀 사회의 운동 역량을 이에 집중할 것, 조국 독립운동에 대하여 부녀로서 할 수 있는 모든 사업에 봉사하되 우선 독립운동 후원금 모집에 착수할 것, 항일 군사 운동이 있을 경우에 출정 군인 구호 사업의 준비로 적십자 임무를 연습하며 재난 동포 구제에 노력할 것, 그리고 조국 독립운동과 외교 선전에 대한 후원 방침에 대한인국민회 지도에 따라서 진행할 것을 결의하였다. 결의문에 따라 4월 1일 대한부인구제회를 설립하였다. 대한부인구제회에 참여한 부녀들은 가정 살림을 절약하여 20만 달러에 이르는 애국금을 모아 독립운동 자금 지원과 구제 사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외교 선전 사업에 후원금을 보내는 한편 군사 운동을 위하여 만주의 군정서와 대한독립군 총사령부 출정 군인에게 구호금을 보냈다. 또한 중경(重慶) 광복군 편성 후원금도 보냈다.

구제 사업으로는 3·1 만세 운동 때 부상을 입은 애국지사의 가족에게 구제금 1,500달러를 보냈으며 국내에 재난이 있을 때마다 YMCA와 『동아일보』, 『조선일보』를 통해 구제금을 보냈다. 세탁업을 하여 2남 1녀의 자녀를 교육시키고 교회와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가운데 1930년 1월 하와이 한인협회 조직시 29인 중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하와이 한인협회는 독립운동을 촉진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집중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1934년 와히아와(Wahiawa) 미감리교회 내에 부인보조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취임하여 활발한 봉사 활동을 펼쳤다.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어려울 때 군인 양성을 위해 백범 김구에게 100달러의 독립 의연금을 송금하기도 하였다. 황마리아는 1937년 8월 5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

황마리아의 묘소는 미국 하와이주 오아후섬 호놀룰루 누우아누 애비뉴 공동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황마리아의 공적을 기리어 2017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강영승·강혜원 흥사단 이력서」(독립기념관)
  • 『신한국보』(1909. 6. 8)
  • 『신한민보』(1928. 5. 3, 1930. 3. 13, 1934. 4. 19, 1934. 11. 8, 1937. 8. 12)
  • 『국민보』(1937. 8. 11)
  • 『韓民』9(中華民國上海 韓民社, 1936. 11. 3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