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순

원어 항목명 Soon Hyun
한자 玄楯
영문 Soon Hyu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9년 3월 21일
수학 시기/일시 1897년~1898년
수학 시기/일시 1909년~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몰년 시기/일시 1968년 8월 11일
출생지 조선 경기도 양주부 석적면 항동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학교|수학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묘소 대한민국 서울 동작구 현충로 210[사당 2동 산41-2]
원어 항목명 Soon Hyu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 총지부 위원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개신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현순(玄楯)[1879~1968]은 초창기 하와이 한인 사회의 형성과 발전 및 중국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통합에 앞장섰다. 하와이 호놀룰루 제일한인감리교회 담임목사로 교회 및 한인 공동체 발전을 위하여 일하고 중한민중동맹단과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 총지부의 실질적인 지도자 역을 하였다. 민중에 기초한 자주적이며 민주적인 새 국가 건설을 위해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현순의 본관은 천령(川寧)[경기도 여주], 자는 치관(致寬), 호는 석정(石丁)이다, 천령 현씨는 조선 후기에 많은 역관을 배출한 집안이다. 현순의 아버지 현제창(玄濟昶)은 지방 수령[현감]을 지냈으며 독립협회에서도 활동하였다. 현순은 12세에 시의(侍醫) 이해창(李海昌)의 딸과 결혼하였다. 부인 현 마리아와의 사이에 장녀 앨리스 현과 장남 피터 현 등 여덞 자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현순은 1879년 3월 21일 경기도 양주부 석적면 항동에서 태어났다. 1897년 한성영어학교에 입학하여 1898년 졸업하였고, 1902년 봄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 제물포의 데쉴러은행[Deshler Bank]의 영어 통역인으로 취업하여 1903년 하와이 노동 이민 대열에 합류하였다. 이후 1907년 5월 귀국할 때까지 통역인이자 개신교 전도사로서 초창기 하와이 한인 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1909년부터 1911년까지 협성신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일제 무단 통치기에는 정동제일교회의 담임목사, 감리교 주일학교 총무직 등을 맡으며 부훙사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3·1 운동 직전 민족 대표들로부터 외교 및 통신의 사명을 받고 중국 상해로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에 앞장서며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차장, 내무차장을 맡았다.

1920년 6월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 소재 구미위원부의 임시위원장을 지냈고, 1922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석하였다.

1923년 하와이에 정착하여 호놀룰루 제일한인감리교회[The First Korean Methodist Church]의 담임 목사로 교회 및 재미 한인 공동체의 발전을 위하여 헌신하였다. 1926년 카우아이(Kauai)섬으로 이주하여 1940년 은퇴할 때까지 목회 활동을 펼쳤다. 카우아이섬에는 대략 350명의 한인이 살고 있었는데, 현순은 단합회(團合會)라는 단체를 결성하여 동포들의 상호 부조를 도모하는 한편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여 상하이 임시 정부를 후원하기도 하였다. 태평양 전쟁기에는 중한민중동맹단과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 총지부의 실질적인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좌우 연립 정부의 구성과 군사 행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1945년 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 총지부 위원장을 맡았으며 해방 후에는 민중에 기초한 자주적이며 민주적인 새 조선 건설을 염원하였다.

1947년 하와이에서 로스앤젤레스로 거처를 옮긴 후 로스앤젤레스 한인 사회의 진보적인 운동에 합류하였다. 1968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현순은 1909년 『포와유람기(布哇遊覽記)』를 국내에서 출간하였고, 『현순자사(玄楯自史)』, 『석정집(石丁集)』 등의 유고를 남겼다.

묘소

현순의 묘소는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현순의 공적을 기리어 1963년 건국 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고정휴, 『3·1 운동과 임시 정부 수립의 숨은 주역 현순』(역사공간, 2016)
  • 한규무, 「현순[1878-1968]의 인물과 활동」(『국사관논총』40, 국사편찬위원회, 1992)
  • David Hyun·Yong Mok Kim, 『My Autobiography by the Reverend Soon Hyun 1878~1968』(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Press, 200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