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장호

한자 韓章鎬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3년 5월 1일
몰년 시기/일시 1994년 2월 6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강동군 고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맨티카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윌로우스 대한인비행가양성소 교관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한인 비행가를 양성한 독립운동가.

개설

한장호(韓章鎬)[1893~1994]는 대한인국민회의 여러 지방회와 청년혈성단, 흥사단에서 활동하고, 독립운동 수행을 위해 레드우드 비행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 부교관으로 일하며 한국 독립운동에 힘썼다.

가계

한장호의 아버지는 한창정(韓昌禎)이고 어머니는 창덕(昌德)이다. 한창호는 4남 중 차남이다.

활동 사항

한장호는 1893년 5월 1일 평양 강동의 고천(高泉)에서 태어났다. 1916년 최정훈·김봉길·이춘식·박선철 등과 미국에 도착하였다. 1916년 8월 대한인국민회 맨티카지방회 총무로 선임되어 활동하였고, 1917년 2월 5일 흥사단에 입단하였다. 8월 29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 안창호, 북미지방총회장 이대위와 함께 다뉴바에서 열린 국치기념일에서 독립의 필요성을 연설하였다.

1919년 5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곽용주·김도준·김영·이상기·이용근·이용선·김정진·김창만·이근영·이초·변준호·신윤국·최능진·최응선·장병훈 등 23명과 「취지서」를 발표하고 대한인국민회 청년혈성단 결성에 참여하였다. 청년혈성단의 결성 목적은 3·1 운동 이후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돕고, 한국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사상·학술상의 기예를 배워 기여하며, 한국 독립운동을 방해하는 모든 해독물을 박멸하는 데 있었다. 1919년 6월 10일부터 청년혈성단에 참여할 한인 청년 모집을 위해 새크라멘토, 윌로우스, 맥스웰, 스톡턴 등 북부 캘리포니아 지역을 순회하였다. 청년혈성단의 확장을 위한 노력과 아울러 독립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 기술을 배우기 위해 1919년 12월경 레드우드 비행학교에 입학하였는데 수업료[600달러]는 당시 쌀 농사를 경영하던 김종림이 후원하였다.

1920년 6월 레드우드 비행학교를 마친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 노백린김종림 등 미주 한인들의 도움으로 윌로우스에 설립한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7월 대한인비행가양성소로 정식 명칭 부여]에 부교관으로 합류하였다. 비행 훈련을 수행하면서 비행 교관들과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 학생 16명과 함께 대한인비행가구락부를 결성하였는데 장차 도래할 비행기 사회의 발전을 전망하고 준비하기 위함이었다. 대한인비행가양성소는 1920년 7월 노백린이 중국 상하이로 떠난 이후 지도력의 부재와 1920년 11월 대홍수로 인해 지원이 끊어지면서 1921년 4월 문을 닫았다.

한장호는 1924년 캔자스시티에서 한인 친목회를 결성하였고, 1933년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1935년, 1939~1942년 시카고지방회의 집행위원장, 1938년, 1943년 구제위원, 1944년 대표원, 1945년 집행위원장 겸 서기로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를 이끌었다. 1916년부터 1945년까지 국민의무금, 독립금 등의 명목으로 다수의 금액을 독립운동을 위해 기부하였다. 주요 활동으로는 1935년 3월 20일 시카고지방회 주최로 이동휘 선생 추도회를 개최하였고 매년 5월 1일 순국선현추도회를 개최하며 민족 독립을 위한 일에 노력하였다. 시카고 지역 흥사단 활동을 이끌었고 해방 후 1948년 10월 6일 한국의 흥사단과 구별하기 위해 미국 흥사단이 미주흥사단위원부로 새로 개편할 때 초대 의사부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한장호의 공적을 기려 1995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 독립운동』(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역사비평사, 2005)
  • 홍선표, 『자주 독립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재미 한인의 꿈과 도전』(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 『신한민보』(1916. 4. 6, 1919. 5. 31, 1919. 6. 12, 1920. 8. 5, 1933. 2. 2)
  • 「대한인국민회 청년혈성단 규약」(『독립운동사료』미국편[5], 국가보훈처, 199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