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곤

한자 韓承坤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1년 1월 28일
수학 시기/일시 1903년~1907년
수학 시기/일시 1907년~1912년
수학 시기/일시 1921년
몰년 시기/일시 1947년
추모 시기/일시 1993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김여대면(현 대동군) 일리
거주|이주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대한민국
성격 목사|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흥사단 의사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한 기독교 목사이자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한승곤(韓承坤)[1881~1947]은 1912년 평양 신학교 졸업 후 기독교 목사 안수를 받고 1912~1916년에 평양 산정현 교회 제1대 담임 목사로 활동하였다. 1913년 가족과 미국으로 이주해 시카고 한인감리교회와 로스앤젤레스 한인감리교회 등에서 머물면서, 흥사단대한인국민회와 동우회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가계

아버지 한경홍(韓慶洪)의 독자로 출생하였다. 1889년 무렵에 5살 연상의 승복(承福)과 만나 결혼하여 슬하에 1남 3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한승곤은 1881년 1월 28일에 평남 평양(平壤) 김여대면(金呂垈面)[현재 대동군] 일리(一里)에서 출생하였다. 1886년부터 한문을 수학하였고 18세인 1889년까지 유학을 공부하였다. 1902년에 평양 하수구리(下水口里)[현재 중구역 서문동]로 이사하여 평양 시내 소학교 교사로 있다가 1903년 평양 숭실중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다. 중학교를 졸업한 1907년에 바로 평양 신학교에 입학했으며 1912년에 제5회로 졸업하였다. 기독교 목사 안수를 받고 1912년에 평양 산정현 교회 제1대 담임 목사로 부임해 1916년까지 목회 활동을 하였다. 1913년에 가족을 데리고 미국으로 이주해 시카고 한인감리교회와 로스앤젤레스 한인감리교회 등에서 시무하였다.

1917년 12월 7일 로스앤젤레스에서 흥사단에 가입하여 1920년 흥사단 의사장(議事長)에 선임되어 의사부를 이끌었고 1921년에 뉴저지의 프린스턴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기도 하였다. 1922년과 1923년에 의사부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24년에는 흥사단 이사부장으로 선임되어 1926년까지 복무하였다. 1925년 1월 안창호가 참여한 가운데 로스앤젤레스에서 거행된 ‘흥사단대회’에 참여하고 흥사단 이사부장에 선임되었다. 1930년 12월 27일부터 28일까지 열린 흥사단 제17차 뉴욕 대회에서 대회장을 맡았으며 1936년 1월 1일에 열린 흥사단 제22차 북미 중서부 대회의 대회장을 맡았다. 그 해 5월 17일에 개최된 북미대한인국민회(北美大韓人國民會) 총회에 대표로 참석하여 임시 정부 재정 후원 문제와 항일 독립운동 세력 규합을 논의하였다.

1936년 국내로 귀국하여 동우회(同友會) 동지들과 교류하며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37년 6월 ‘동우회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40년 8월 경성복심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과 집행 유예 3년을 선고받았으나 1941년 11월 최종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47년 66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한승곤의 공적을 기리어 1993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승곤 흥사단 이력서」(독립기념관)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독립운동사 자료집』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 『독립운동사 자료집』1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