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Han Kyungsun |
---|---|
영문 | Han Kyungsu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883년 2월 9일 |
---|---|
몰년 시기/일시 | 1959년 6월 20일 |
추모 시기/일시 | 2004년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 |
묘소 |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
원어 항목명 | Han Kyungsun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재미 한인 실업가이자 독립운동가
한경선은 1883년 2월 9일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복무 중이던 1904년 21세 때에 하와이로 노동 이민하였다.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인 이상설이 미국으로 와서 1909년 장인환·전명운 의사의 전기인 『양의사합뎐(兩義士合傳)』을 간행하고, 1911년 홍언이 『대동위인안중근전(大東偉人安重根傳)』을 간행할 때에 각각 출연금을 내었다. 북미 공립협회와 하와이 한인합성협회가 통합해 1909년 국민회를 결성하자 국민회 하와이 지방총회에 참여하였고 국민회가 북미 대동보국회와 통합해 대한인국민회가 결성되자 1910년 대한인국민회 카우아이(Kauai)섬 막가윌리 사동지방회 통상회 부회장과 상하나말루지방회 통상회 구제원으로 선정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오아후(Oahu)섬으로 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산하의 목골리지방회 학무원과 복복기지방 경찰소의 대의원으로 선정되어 활동하였다. 1914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연무부(鍊武部)에서 오아후섬 가할루(Kahaluu) 아후마누(Ahuimanu) 농장에 대조선국민군단을 편성했을 때, 대한제국 군인 출신으로서 참여하여 훈련대 참위(參尉)로 활동하였다.
1937년부터 1945년 광복 때까지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평의원, 와이하와지방회 부회장 등을 지내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과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각종 독립 의연금을 적극적으로 출연하였다. 광복 후에도 와히아와(Wahiawa) 코코헷에서 카네이션 원예업에 종사하며 재미 한인 사회의 일에 재정적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한경선은 1959년 6월 20일 사망하였다.
한경선의 유해는 호놀룰루 다이아몬드 헤드 기념공원[Diamond Head Memorial Park]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한경선의 공적을 기리어 2004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