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Choy Doowook |
---|---|
한자 | 崔杜旭 |
영문 | Choy Doowoo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1년 5월 4일 |
---|---|
몰년 시기/일시 | 1956년 6월 20일 |
추모 시기/일시 | 1998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 |
원어 항목명 | Choy Doowook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재미 한인 실업가이자 독립운동가.
최두욱은 1891년 5월 4일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출생하였다. 하와이 하나페페에서 양복점을 경영하였고, 1922년 호놀룰루로 이주해 양복점을 운영하여 사업이 번창하였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군복 상회를 경영하여 사업적으로 성공하였다.1929년 11월 3일 국내에서 일어난 광주 학생 운동의 소식이 하와이로 전파되자 한인들이 서로 결집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나 1930년 1월 13일 호놀룰루에서 한인협회(韓人協會)를 발기하였다. 한인협회는 “임시 정부로 집중시키는 것이 곧 독립의 정신이요 민족 통일의 경로”임을 주장하는 취지서와 모든 민족 운동을 임정으로 집중·통일하는 3대 강령을 발표하였다. 1941년 4월 하와이에서 개최된 해외한족대회에서 민족 통일 운동과 독립운동 강화라는 중대 임무를 띤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결성되어 하와이 호놀룰루에는 의사부, 북미 로스앤젤레스에는 집행부를 두었을 때, 의사부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43년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의 부의장으로 선출되어 한길수의 외교 활동을 적극 후원했으며, 많은 독립 의연금을 지원하였다. 1944년 9월 한국독립당 하와이총지부 평의부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2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6년 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국내대표단 일원으로 선출되어 한국으로 파견되어 독립 국가 건설에 참여하였다. 1956년 6월 20일 6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최두욱의 공로를 기리어 1998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