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능익

원어 항목명 Neung Ik Choi
한자 崔能翊
영문 Neung Ik Choi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9년 11월 24일
몰년 시기/일시 1976년 12월 22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성태면 석곡리 14-7
학교|수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묘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사당 2동 산 41-2]
원어 항목명 Neung Ik Choi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회원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최능익(崔能翊)[1889~1976]은 1917년 미국에서 흥사단에 입단한 후 한인학생친목회 유학생대표회,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 대한인국민회,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조선민족혁명당에서 활동하며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힘쓴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최능익은 아버지 최경흠(崔敬欽)과 어머니 이경수(李敬洙)의 4남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최능진(崔能鎭)은 1916년 1월 조국 독립과 항일 투쟁을 위해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아들 하워드 최는 1945년 미 해군에 입대하여 훈련받았고,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 인천 앞바다에서 수뢰 탐지 작전에 참여하였다.

활동 사항

최능익은 1889년 평안남도 강서군 성태면(星台面) 석곡리(硯谷里) 14-7번지에서 태어났다. 윌로우스대학에 재학 중이던 1919년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한인학생친목회 유학생대표회가 개최되자 한인 학생 전체를 대표할 통일 기관을 결성하기로 합의하였다. 1920년 4월 윌로우스 지방대표로 학생총회 결성대회에 참가하여 총회 결성 발기회를 조직하고 미주 한인 학생들의 친목과 항일민족의식 고취에 노력하였다.

1920년 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노백린 등이 중국 내 항일 독립운동을 후원할 목적으로 설립된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 한인비행학교의 학생으로 입소해 50여 명의 학생들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공군으로서 비행사 훈련을 받았다. 1921년 캘리포니아주의 대한인국민회 다뉴바지방회 학무원으로 선출되었고 동시에 다뉴바 국어학교의 교사로 복무하였다. 1923년 12월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 회장과 서기 등을 역임하였다.

1939년 10월 로스앤젤레스에서 변준호 등과 함께 중국피난민후원회를 조직하고, 1941년 2월 후원회를 변경하여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를 조직하였다. 중국 한구에서 조선의용대가 편성되자 중국 군대 후방 공작을 후원하였다. 이후 1942년 5월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함에 따라 1943년 1월 조직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로 개칭하였다. 9월 기관지 『독립』을 창간하여 중국 내 김원봉 계열의 정치 운동 노선을 적극 후원 지지하였다. 1941년 4월 20일 호놀룰루에서 미국 내 각 한인 단체 대표들이 모여 해외한족대회를 개최하였을 때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 대표로 참석하였고 8월 미국 내 모든 단체들을 통합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43년 9월 이승만 계열의 동지회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탈퇴하여 1944년 6월 독자적으로 외교위원부를 설치하고 활동하자 재미한족연합위원회도 별도의 외교사무소를 개설하고 외교 사무를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8월 외교위원부를 새롭게 개조할 것을 명하자, 10월 로스앤젤레스에서 미국과 하와이의 17개 단체 중 동지회 계열의 4개 단체를 제외한 13개 한인 단체가 대표회를 개최하였다. 최능익은 이때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지부 대표로 참석하여 주미외교위원부의 인선 작업에 참여하였다. 최능익은 1976년 12월 22일 사망하였다.

묘소

최능익의 유해는 2009년 4월 13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최능익의 공적을 기리어 1995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최능진 흥사단 이력서」(독립기념관)
  • 최기영, 「조선의용대와 미주 한인 사회: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를 중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11, 한국근현대사학회, 1999)
  • 이명화, 「재미 실업가 김종림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4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2)
  • 『신한민보』(1921. 6. 16, 1921. 8. 25, 1923. 7. 5, 1923. 12. 20, 1927. 2. 10)
  • 『독립』(1943. 10. 2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