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진찬

원어 항목명 Jo Jin Chan
한자 曺珍燦
영문 Jo Jin Ch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네브래스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1년 4월 20일
몰년 시기/일시 1916년 12월 6일
추모 시기/일시 2010년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활동지 미국 네브래스카주
원어 항목명 Jo Jin Cha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네브래스카주에 설립된 한인소년병학교에서 소년병 양성에 힘쓴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조진찬(曺珍燦)[1861~1916]은 1909년 6월 미국 네브라스카주에서 설립된 한인소년병학교에서 학도병을 양성한 독립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조진찬은 1861년 4월 20일 경상남도 김해에서 태어났다. 1908년 5월 박용만(朴容萬) 등이 한인 군사 학교 설립을 의결하고 애국동지대표회에서 논의할 것을 결의하였다. 7월 북미 대한인애국동지대표자회의에서 박용만이 제출한 한인 군사 학교 설립안이 통과되었다. 12월 박용만 등이 네브래스카주 커니시의 한 농장에 군사 학교 설립 부지를 마련하고 조진찬을 농장 경영자로 초빙하였다. 1909년 6월 해외 최초의 독립 군관 학교인 한인소년병학교[The Young Korean Military School]가 창립되어 학생 13명을 모집하였다. 한인소년병학교는 미국식 군사 훈련을 모방하였고 웨스트포인트의 훈련 방식을 따랐으며, 성경·과학·영어·국어 등의 학과목과 연극·육상 등 과외 활동을 통해 민족의식과 독립 정신을 고취하였다. 1910년 박용만이 네브래스카 헤이스팅스대학 측과 교섭하여 학교 건물 1동과 20에이커[약 80,000㎡]의 땅을 임대받았다. 1910년 4월 학교가 헤이스팅스로 이전하자 조진찬도 함께 이동하여 농장 운영 및 소년병 모집에 노력하였다. 1914년 2월 2일 학교 운영에 재정적 어려움이 닥치자 찬조금 기부를 권하는 「소년병 유지단 취지서」를 김유성·박양래·이상진 등과 함께 발기하고 특연금과 총을 기부하는 등 한인소년병학교와 흥망을 함께하였다. 한인소년병학교는 1912년 9월 제1회 졸업식에서 13명의 사관생도를 배출한 이후 1914년까지 100여 명을 배출하였다. 1912년 11월 학장 박용만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초청으로 『신한민보』 주필로 초빙되어 떠난 후, 박처후가 교장이 되어 2년간 유지하였으나 인원 모집 곤란 등으로 1914년 8월 폐교되었다. 조진찬은 1916년 12월 6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조진찬의 공적을 기리어 2010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안형주, 『박용만과 한인소년병학교』(지식산업사, 2007)
  • 김도훈 외, 『1910년대 국외 항일 운동』(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 김주용 외, 『국외 항일 유적지』(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독립유공자 공훈록』19(국가보훈처, 2012)
  • 『신한민보』(1911. 4. 26, 1911. 5. 17, 1914. 2. 19)
  • 『국민보』(1914. 2. 2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