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관

한자 鄭在寬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0년 5월 22일
몰년 시기/일시 1922년
추모 시기/일시 1980년
추모 시기/일시 1990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황주군[혹은 평양]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공립협회 총회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정재관(鄭在寬)[1880~1922]은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1905년 4월 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창립하였다. 1906년 5월부터 1907년 4월까지 공립협회 서기, 이후 1908년 2월까지 공립협회 총무, 1909년 1월까지 공립협회 총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정재관의 호는 해산(海山)이며, 1980년 5월 22일 황해도 황주군 청수면(黃州郡淸水面)[평양에서 태어났다는 설도 있음]에서 태어났다. 경성관립사범학교에 재학하다가 1903년 11월 2일 미국 하와이에 도착하였다.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가 유학하였고 안창호와 함께 1905년 4월 5일 공립협회를 창립한 다음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05년 11월 20일 공립협회 기관지 『공립신보』를 창간하고 1907년 4월 26일부터 편집인 겸 발행인을 맡았다. 1908년 2월 『공립신보』 주필로 활동하였다. 3월 샌프란시스코 한국 교민 대표 최유섭(崔有涉) 등과 한국의 외교 고문 스티븐스(Stevens, D.)를 방문하여 친일 성명서 내용을 추궁하며 격투를 벌였다. 1909년 5월 1일 대한인국민회 러시아 원동지부 대표원으로 임명되었고, 원동 독립군의 근거지 마련을 위해 설립한 태동실업주식회사의 대리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강(李剛)과 함께 지방회 조직에 주력하였다.

1909년 10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처단 계획이 대동공보사(大東共報社)에서 수립될 때 참석하여 안중근(安重根)을 지원하였다. 1910년 8월 18일 한일 병합 규탄 성명회의 기초위원을 지내고, 1911년 10월 러시아 치타에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를 조직하였다. 1911년 12월 19일 이상설 등과 교민 단체 권업회(勸業會)를 조직하고, 1912년 4월 4일 부의장, 1912년 12월 30일 교육부장, 1913년 10월 6일 총무, 1914년 1월 9일 부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귀화 수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러시아 일등병으로 참전하였고, 1918년 10월경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간행된 『한인신보』 사장을 맡았다. 1919년 3·1 운동 직전에 만주와 노령에 독립운동 단체가 중심이 되어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할 때에는 39명의 동지들과 함께 서명하였다. 1920년 3월부터 1921년 창해청년단의 참모장을 지내고, 1921년 7월 연해주 이만에서 대한의용군사회 조직을 결의하였다. 정재관은 1921년 8월 한창걸 등과 한인혁명군을 조직하였고, 1922년 시베리아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정재관의 공적을 기리어 1980년 건국 포장, 1990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김정명, 『조선독립운동』2·3(東京: 原書房, 1967)
  • 『독립운동사』3·4·5·7·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83)
  • 김방, 「이동휘 연구」(『국사관논총』18, 국사편찬위원회, 1990)
  • 박환, 「정재관: 미주의 공립협회 총회장에서 러시아의 혁명가로」(『한국민족운동사연구』38,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 『공립신보』(1906. 1. 8, 1906. 5. 20, 1906. 6. 30, 1906. 9. 7, 1906. 10. 7, 1907. 4. 26, 1907. 5. 31, 1907. 6. 7, 1907. 6. 14, 1907. 6. 21, 1907. 6. 28, 1907. 7. 5, 1907. 8. 16, 1907. 10. 4, 1907. 11. 8, 1908. 9. 30, 1908. 10. 21, 1908. 1909. 1. 13)
  • 『신한민보』(1909. 3. 17, 1909. 3. 24, 1909. 4. 28, 1909. 5. 5, 1909. 8. 18, 1909. 10. 27, 1910. 5. 11, 1910. 6. 22, 1911. 5. 17, 1913. 10. 17, 1914. 1. 29, 1916. 2. 22, 1918. 3. 21, 1919. 1. 1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