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옥

원어 항목명 Doo Ok Chung
한자 鄭斗玉
영문 Doo Ok Chu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9년 11월 21일
활동 시기/일시 1903년
몰년 시기/일시 1972년 9월 9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원어 항목명 Doo Ok Chung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조선독립단 총단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활동한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정두옥(鄭斗玉)[1889~1972]은 1914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와이엘누아 지방 대의원을 지냈고, 1918년 7월 박용만(朴容萬)하와이에서 조직한 갈리히 연합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박용만이 국내와 원동(遠東)의 항일 독립운동 단체를 통합할 목적으로 결성한 대조선독립단 총단장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정두옥은 1889년 11월 21일 태어났다. 1903년 노동 이민으로 미국 하와이로 건너갔다. 1914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와이엘누아 지방 대의원을 지냈고, 1918년 7월 박용만하와이에서 조직한 갈리히 연합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3월 박용만이 국내와 원동(遠東)의 항일 독립운동 단체를 통합하고자 결성한 대조선독립단 총단장으로 활동하였다. 1921년 4월 군사통일주비회(軍事統一籌備會)를 개최하자 10월 하와이 대조선국민대표기성회 위원으로 최고의 독립운동 기관을 설립하자는 선언서를 발표하여 군사통일주비회의 운동 노선을 지원하고 자금을 후원하였다. 1931년 10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내에 공동회(共同會)를 소집하여 선전부를 조직하고 선전부장으로 선임되어 항일 무장 투쟁을 적극 주장하였다. 기관지 『국민보(國民報)』의 주필로도 활동하였다.

193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한미문화협회가 발족되고 워싱턴에 문화회관 건립이 추진되자 문화회관 건설 위원장으로 활약하였다. 1940년 하와이 오아후 지방에서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를 조직하고 집행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한국광복군 편성의 경제적 후원을 담당하였다. 1941년 8월 미국 내 모든 단체를 통합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가 조직되고 하와이 호놀룰루에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의사부(議事部)를 설치하자 의사부 위원 및 선전부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원과 외교 및 선전 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하와이 지역 중국인들과 연대하여 중한민중동맹단(中韓民衆同盟團)을 결성하고 단장에 취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미군을 돕기 위해 정보 수집 임무 등을 스스로 수행하였다. 1945년 10월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在美韓族國內派遣代表團)이 구성되자, 한국독립당 하와이지부 집행위원장 자격으로 1946년 2월 한국을 방문하여 활동하였고, 8개월 후 미국으로 돌아갔다. 정두옥은 1972년 9월 9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정두옥의 저술로는 1969년 출간한 『재미한족독립운동실기(在美韓族獨立運動實記)』가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정두옥의 공적을 기리어 1995년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 자료집』8·9(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84)
  • 윤병석, 「재미 한족 독립운동 실기 해제」(『한국학연구』3 별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1)
  • 김원용, 『재미 한인 50년사』(혜안, 2004)
  • 최창희, 「한국인의 하와이 이민」(『국사관논총』9, 국사편찬위원회, 1989)
  • 『신한민보』(1917. 3. 1, 1925. 3. 26, 1928. 6. 17, 1932. 1. 28, 1933. 2. 2, 1934. 7. 12, 1936. 2. 13, 1943. 1. 14, 1944. 3. 2, 10. 19, 1945. 5. 10, 1945. 9. 6)
  • 『동아일보』(1946. 2. 13)
  • 『자유신문』(1946. 2. 1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