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산

원어 항목명 Jeon Su San
한자 田壽山
영문 Jeon Su Sa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4년 5월 23일
수학 시기/일시 1908년 7월
수학 시기/일시 1912년 3월
몰년 시기/일시 1969년 6월 19일
추모 시기/일시 2002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하와이주
묘소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시 18번 애비뉴 529
원어 항목명 Jeon Su Sa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부인구제회 회장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주에서 활동한 여성 운동가이자 재미 한인 독립운동가.

개설

전수산(田壽山)[1894~1969]은 1916년 미국 하와이주로 이민하여 대한부인구제회, 대한동지회에서 활동하면서 국권 회복 운동과 독립 전쟁 후원과 구제사업에 참여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이승만의 외교 활동을 후원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전수산의 첫 남편은 유경영이고 사이에 딸 옥희가 있었다. 전수산은 1921년 유경성과 이혼하고 이동빈과 재혼하였다.

활동 사항

전수산은 1908년 7월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1908년 7월 평양 진명여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와 1912년 3월 이화학당 중등과를 졸업하였다. 1916년 하와이에 유학 간 남편 유경성과 합류하기 위해 3세 딸 옥희와 동반 이민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공채를 발행하자 15달러 상당의 공채를 매입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1919년 4월 1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창립된 하와이 부인 단체의 통일 기관인 대한부인구제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국권 회복 운동과 독립 전쟁에 필요한 후원금을 모집하고 출연하였으며 애국지사 가족들에게 구제금을 송금하는 등 구제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전수산은 1921년 유경성과 이혼하고 이동빈과 재혼하였다. 성공회 성누가 교회 내의 국어 학교에서 한글을 가르치고 호놀룰루 미술관과 협조해 한국 음악과 무용을 전수·보급하는 데 힘썼다. 1930년대 대한동지회 회원이 되어 이승만을 후원하고 『태평양주보』의 유일한 여성 주필로 활동하였다. 1942년부터 1945년 해방 때까지 호놀룰루 대한부인구제회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중국 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이승만의 외교 활동을 후원하고 독립 의연금을 출연하였다. 전수산은 해방 후에도 고국 동포를 위한 구제 사업에 열성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69년 6월 19일 사망하였다.

묘소

전수산의 묘소는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의 다이아몬드헤드 공원묘지[Diamond Head Memorial Park]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전수산의 공적을 기리어 2002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중앙M&B, 2003)
  • 『국민보』(1937. 9. 15, 1938. 5. 18, 1938. 8. 10, 1942. 5. 13, 1945. 4. 4, 1945. 4. 11)
  • 「하와이 여성 독립운동가 전수산 지사를 찾아서」(『신한국문화신문』, 2017. 4.1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