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Hong Kee Lee |
---|---|
한자 | 李鴻基 |
영문 | Hong Kee Le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하와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77년 3월 12일 |
---|---|
몰년 시기/일시 | 1974년 9월 5일 |
추모 시기/일시 | 1997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옹진(甕津)군 |
거주|이주지 | 미국 하와이주 |
활동지 | 미국 하와이주 |
원어 항목명 | Hong Kee Lee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03년 하와이 카우아이(Kauai) 콜로아 사탕수수 농장으로 노동이민 후, 4월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였다. 재정적 어려움을 겪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자금 지원을 요청받고 하와이 동포들과 모금에 앞장섰다. 1930년 7월 조직된 가와이 대한인단합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금을 지원하였다. 1937년 하와이 국민회, 카우아이(Kauai) 국민회, 케카하지방회에서 활동하였다. 1939년 4월 하와이 한인애국단에 참여하고, 1941년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가와이지부 서기로 복무하였다. 1942년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충칭[重慶] 대표인 전경무(田耕武)의 외교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내 협찬위원회 회장으로 활약하는 등 많은 의연금을 출연하였다. 광복 직전까지 국민회 펀치볼지방회 서기와 대의원을 역임하였다. 광복 후 1954년 새로이 국민회 부누호지방회에서 서기, 대의원, 회장을 역임하였다. 1959년 하와이 국민회 총회에서 학무직을 맡는 등 하와이 한인사회를 위해 힘썼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홍기의 공로를 기리어 1997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