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모

원어 항목명 Tae Moo Lee
한자 李泰模
영문 Tae Moo Le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6년 9월 28일
추모 시기/일시 2014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미국 미네소타주
원어 항목명 Tae Moo Lee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태모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북미유학생총회, 통일기성회, 흥사단에 참여하여 재미 한인사회의 발전책을 모색하였던 독립운동가이다. 미국 육군에 징병되어 일본어와 중국어 교육을 받고, 미국 전략첩보국[OSS] 산하 야전침투훈련부대에 배속되어 냅코(Napko)작전인 한반도 침투훈련을 수행하여 한국 독립을 앞당기고자 노력하였다.

가계

1906년 9월 28일 부친 이학순(李學淳)과 모친 최경순(崔敬淳) 사이에서 출생했다. 형제로 형 이태권(李泰權)과 동생 이태석(李泰錫)이 있다. 1942년 7월 2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스티븐스를 처단한 전명운의 맏딸인 전경숙[1921년 9월 2일생, 영어명 Rosemary]과 결혼해 2남 2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1929년 2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이주하여 엠포리아대학을 다녔고, 1930년 6월 20일부터 3일간 시카고 제8회 대한인북미유학생총회 중서부 학생회 연회(年會)에 참석해 재미 한인사회의 발전책을 모색하여 통일기성회를 조직했다. 1934년 6월 2일 로스앤젤레스로 가서 흥사단에 입단하여 흥사단 로스앤젤레스 지방대회 지도원으로 활동했고, 1939년에는 흥사단 이사부 서무부에서 활동했다. 1940년 9월 중국 충칭[重慶]에서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광복군 후원금으로 50달러의 거액을 후원하였다.

1943년 3월 미국 육군에 징병되어 미네소타주 새비지(Savage) 캠프의 군사어학원[MIS]에서 일본어와 중국어 교육을 받고, 미국 육군 하사관으로 복무하였다. 1944년 9월 18일 미국 전략첩보국[OSS] 산하 야전침투훈련부대에 배속되어 침투훈련과 첩보훈련을 받았다. 1945년 1월부터 8월까지 미국 전략첩보국이 냅코(Napko)작전을 추진할 때 한반도 침투훈련을 수행했다. 냅코작전은 한반도 침투를 통해 일본 식민통치를 혼란에 빠트려,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태모의 공적을 기리어 2014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흥사단보』22, 23(1936, 1937)
  • 『신한민보』(1927.11. 3, 11.17, 12. 8, 1929. 2. 7, 1930. 6. 26, 7. 3, 1940.11. 7, 1942. 6.25, 8.13, 1943. 3.11, 9. 2, 1944. 8. 3, 1945. 1. 4)
  • 민병용, 「인간 전명운」①(『한국일보 』(워싱턴), 1983. 4. 9)
  • 민병용, 「인간 전명운」②(『한국일보 』(워싱턴), 1983. 4. 16)
  • 정병준, 『광복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정병준, 「박순동의 항일투쟁과 미 전략첩보국(OSS)의 한반도침투작전」(『지방사와 지방문화』 6-2, 역사문화학회, 2003)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