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6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1년 3월 14일 |
수학 시기/일시 | 1937년 |
거주|이주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시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시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북미 대한인학생회 연합회 부회장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진묵은 오클랜드(Oakland) 한인교회를 중심으로 목회 활동을 하고, 북미 대한인학생회 총회와 샌프란시스코지방회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906년 출생한 이진묵은 1931년 3월 14일 연희전문학교를 제13회로 졸업하였다. 교육에 종사하다가 1937년 1월 4일 미국에 도착하였고, 버클리의 태평양 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37년 1월 17일 오클랜드 한인교회에서 ‘한국 교육의 목적과 발전’을 주제로 강연하였고, 1월 24일 ‘하느님을 기쁘게 하라’는 주제로 설교하였으며, 엡윗청년회[Epworth League]에서도 강연하였다. 1937년 1월 오클랜드 국어학교 국어 교사로 초빙되었고, 오클랜드 한인교회의 주일 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39년 12월 17일 오클랜드 한인교회의 대리 목사가 되었다. 1940년 9월 로스앤젤레스 한인감리교회 목사가 되었다. 1943년 7월 1일 샌프란시스코의 전시정보국에 취직하였다. 1943년 10월 북미 대한인학생회 총회에서 부회장, 1943년 11월 28일 샌프란시스코지방회에서 시국 특별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4년 4월 2일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제3차 전체위원회에 북미 대한인학생회 연합회 총회 부회장 자격으로 참석하였다. 1944년 7월 27일 북미 학생회 샌프란시스코지부 사교부 부장을 맡았다. 한편 1944년 샌프란시스코의 전시정보국[Office of War Information]에서 황성수(黃聖秀), 김태묵, 이동진[Samuel Lee] 등과 함께 단파 일본어 방송으로 미국이 일본과 벌인 심리전에 참여하였다. 미 국무성 파견으로 1946년 5월 13일 인천에 도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