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경

원어 항목명 Un Gyeong Lee
한자 李雲卿
영문 Un Gyeong Le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5년 12월 7일
몰년 시기/일시 미상
추모 시기/일시 201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랜드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Un Gyeong Lee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1911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사업가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이운경(李雲卿)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랜드,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국민회 소속으로 활동하며 흥업회사, 권업회사, 식물 상점 등 각종 사업을 통해 독립운동 활동과 자금을 지원한 재미 사업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활동 사항

이운경『신한민보』 기록과 당시 이민 현황을 유추해 볼 때 1903~1905년경 도미하여, 1910년 1월 캘리포니아의 레드랜드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11년 1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법무 위원으로, 1912년 1월 국민회 레드랜드지방회 법무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 이운경은 여러 차례 구호 광고와 의연금을 모집하여 어려운 한인들을 돕고, 1920년 2월 캘리포니아주 윌로우스(willows) 한인비행사양성소 간사로 활동했으며, 여러 사업을 통해 임시 정부와 독립운동에 자금을 지원하고, 해방 후에도 계속 의연금을 납부하였다. 1924년과 1939년에는 로스앤젤레스지방회 3·1절 경축 기념식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였다. 1943년 8월 로스앤젤레스에서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회원으로, 1944년 독립신문사 2차 사우총회 이사로, 1945년 1월에는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감찰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해방 후 1947년 국민총회관에서 영어 야간 학교를 개설해서 교육을 맡았고, 1952년 『국민보』 주필로 활동하였으며, 1953년 이승만(李承晩)의 휴전 반대에 대해 「평화로 통일」이라는 제목으로 비판 글을 기고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운경의 공적을 기려 2015년에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 자료집』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 『미주 국민회 자료집』3(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도산학회, 경인문화사, 2005)
  • 『신한민보』(1910. 2. 9, 10. 5, 1911. 4. 12, 6. 7, 7. 12, 1912. 1. 12, 3. 18, 7. 8, 1918. 1. 24, 2. 14, 3. 12, 1919. 2. 27, 4. 19, 4. 22, 9. 4, 1920. 7. 15, 1923. 7. 5, 1924. 3. 13, 1929. 6. 20, 1932. 12. 15, 1938. 8. 11, 11. 17)
  • 『독립』(1943. 10. 6, 10. 27, 12. 23, 1944. 1. 19, 10. 4)
  • 『국민보』(1946. 9. 18, 1947. 2. 12, 3. 12, 6. 4, 1952. 1. 23, 1953. 7. 8)
  •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