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원어 항목명 Syng Man Rhee
한자 李承晩
영문 Syng Man Rhe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5년 3월 26일
수학 시기/일시 1895년~1897년
수학 시기/일시 1905년~1907년
수학 시기/일시 1910년
활동 시기/일시 1897년~1898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41년~1945년
활동 시기/일시 1948년~1960년
몰년 시기/일시 1965년 7월 19일
추모 시기/일시 1949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능내동
학교|수학지 한국|미국
활동지 한국|미국
묘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원어 항목명 Syng Man Rhee
성격 독립운동가|정치인
성별
대표 경력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하와이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개설

이승만(李承晩)은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운동에 연루되어 정치범으로 옥고를 치른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수학 후, 민족 교육과 선교 활동을 하였다. 1919년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고, 태평양 전쟁 때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으로서 한국의 독립과 임시 정부 승인 외교를 전개하였다. 일본 패전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고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1965년 사망하였다.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우남(雩南)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16대손으로 1875년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대경리 능내동에서 아버지 이경선(李敬善)[1839~1912]과 어머니 김해 김씨(金海金氏)[1833~1896]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15세에 박춘겸의 딸과 결혼했으나, 1912년 이혼하였고, 1934년 프란체스카 도너(Franziska Donner)와 재혼하였다.

활동 사항

이승만은 1897년 배재학당 졸업 후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운동에 참여하다가 정치범으로 투옥되었다. 1904년 11월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10년 10월 귀국하였다. 일제 강점기 초기 YMCA의 한국인 총무 겸 학감(學監)을 지내다 ‘105인 사건’으로 1913년 하와이로 이민하여 한인감리교회의 한인기독학원을 운영하고 『태평양잡지』를 발간하였다. 이승만은 ‘105인 사건’의 실상을 다룬 『한국교회 핍박』을 저술하고, 옥중 저서인 『독립정신』과 『청일전기』를 출판하였다. 또 한인기독학원한인중앙학원으로 개명하고 민족 교육과 선교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이승만은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 그 후 워싱턴 D.C.에 구미위원부를 설립하고 미국 정부와 언론과 국민을 상대로 한국 독립 선전 활동을 펼쳤다. 1924년 11월 호놀룰루에서 조직된 대한인동지회 종신 총재에 취임하고, 태평양 전쟁 시기 주미외교위원부의 위원장으로서 한국의 독립과 임시 정부 승인 외교를 전개하다가 일본 패전 후 귀국하였다. 미군정 통치 하에서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고 초대 대통령을 지냈다. 1960년 4·19 혁명 후 이화장(梨花莊)에 잠시 머물다 5월 29일 하와이로 망명하였고, 1965년 7월 19일 하와이 호놀룰루 요양원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독립정신』[로스앤젤레스: 대동신서관, 1910], 『한국교회 핍박』[호놀룰루: 신한국보사, 1913], 『Japan Inside Out: The Challenge of Today』[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941] 등이 있다.

묘소

이승만의 묘소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1949년 건국 공로 훈장 대한민국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유영익, 『이승만의 삶과 꿈-대통령이 되기까지』(중앙일보사, 1996)
  •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 독립운동』(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역사비평사, 2005)
  •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1~7(조선뉴스프레스, 201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