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Seong Rye Lee |
---|---|
한자 | 李聖禮 |
영문 | Seong Rye Le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4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1945년 |
활동 시기/일시 | 1934년~1935년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7월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1월 20일 |
몰년 시기/일시 | 1963년 |
추모 시기/일시 | 2015년 |
활동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
원어 항목명 | Seong Rye Lee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여 |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성례는 192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한여자애국단 맥스웰지부 단장을, 1930~1945년 대한여자애국단 나성지부 부단장·재무·위원·단장을 지냈다. 1934~1942년 대한여자애국단 총부 재무, 1944년 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11월 주미외교위원부 개조를 위한 전체대표회, 1945년 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강화회에 대한여자애국단 대표로 참석하였다. 1934~1935년 대한인국민회 나성지방회 구제원, 1936년 7월 흥사단 제2구역 나성지방대회 준비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37년에는 대한여자애국단 재무로, 1938년 한인여자애국단의 나성지부 대표로, 1939~1940년 다시 재무로 활동하였다. 1943년 6월에는 박경신, 임인재 등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전보를 보내기도 하였다. 1948년 1월 20일 대한여자애국단 제11대 총부단장에 선출되었고, 제13대 총부단장에 재선출되었다. 1923~1945년까지 구제, 의무금, 후원금, 동정금 등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이성례의 공훈을 기리어 2015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