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위

원어 항목명 David Lee
한자 李大爲
영문 David Le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9년 6월 12일
몰년 시기/일시 1928년 6월 17일
추모 시기/일시 199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원어 항목명 David Lee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활동한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이대위공립협회를 조직하고, 대한인국민회, 애국동맹단, 신한민보 주필로 활동하면서 국권회복을 위해 미주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한 애국지사이다.

활동 사항

이대위는 1903년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9월 안창호.장경 등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한인친목회 결성에 참여하고 서기와 경찰직을 맡았다. 1905년 4월 한인친목회가 확대 개편된 공립협회에서 항일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05년 9월부터 1908년 6월까지 오리건주 포트랜드아카데미에서 수학하였고, 1906년 4월 상항 한인감리교회 창립 후 12월 기독교 잡지 『대도(大道, Korean Evangel)』를 창간하였다. 1909년 6월 4일 샌프란시스코지방회장, 12월 18일 북미지방총회 대의원회 총무와 학무원, 1910년 2월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1910년 7월 애국동맹단의 번역원으로 선임되어 하와이 지방총회와 연서로 일본 천황에게 한국 강점 항의 서한을 발송하고, 국권회복을 위해 미주에 독립군양성소 설립을 결의하였다.

1911년도 샌프란시스코지방회의 대의원과 상항 한인감리교회 목사로 활동하였고, 1913년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였다.

1913년 12월부터 1916년 북미지방총회 총회장으로 활동하였다. 신한민보 주필로 일하면서 인터타입 한글 식자기를 발명하였고, 1915년부터 1970년까지 신한민보 제작에 할용되었다. 1916년 북미지방총회 법무원. 1917년부터 1919년 4월까지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구미위원부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상항 한인감리교회로 돌아왔다. 그후 신한민보 와 재미 한인들을 위해 봉사하다가 과로로 1928년 6월 17일 사망하였다.

묘소

이대위의 유해는 샌프란시스코 사이프러스 공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2005년에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대위의 공로를 기리어 1995년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共立新報』(1906. 9. 18)
  • 『신한민보』(1909. 6. 9, 1911. 2. 22, 1913. 6. 23, 7. 4, 1914. 4. 9, 7. 16, 1916. 3. 9, 1917. 2. 15, 1919. 5. 1, 1928. 6. 21, 8. 23, 1967. 1. 27)
  • 유석종, 『애국지사 이대위』(북산책, 2010)
  • 최기영, 「1910년대 이대위의 재미민족운동」(『진단학보』 111, 진단학회,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