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응호

원어 항목명 Eung Ho Yoon
한자 尹應鎬
영문 Eung Ho Yo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델라노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1년 4월 10일
몰년 시기/일시 1979년 5월 31일
추모 시기/일시 2015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안주군 서면 용성리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델라노시
묘소 할리우드 포레스트 론 공동묘지
원어 항목명 Eung Ho Yoo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에서 활동한 실업인이자 독립운동가.

가계

윤응호(尹應鎬)는 1881년 4월 10일 평안남도 안주군 서면 용성리(安州郡 西面 龍城里)에서 아버지 윤성국(尹聖國)과 어머니 김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1916년 사진 신부로 미주에 온 강원도 김화(金華) 출신의 김도연(金道演)과 결혼하였다.

활동 사항

본명은 윤치정(尹致貞)이다. 윤응호(尹應鎬)로 개명하였고, 윤응호(尹應浩)라고도 표기하였다. 1904년 2월 러일 전쟁 때 일본군 식량을 만주로 실어다주는 화물 운송 조역 일을 하였고, 1904년 하와이로 이주하여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면서 대동교육회에 가입, 활동하였다. 1910년 국민회와 대동보국회대한인국민회로 통합되자 회원이 되었고, 1913년 6월 6일에는 흥사단 창립 단원이 되었다. 1917년 새크라멘토지방회 법무원으로, 1920년 2월 20일에 설립된 윌로우스 비행사양성소 간사로, 1924년 7월 맨티카 교회에 설립된 국어학교의 재무로 활동했다. 1935년 델라노 지방으로 이주하여 델라노지방회 학무 위원으로서 태극국어학교 운영을 주도하였고, 1943년에 대한인국민회 집행위원장을 역임하며 각종 독립 의연금을 독립운동계에 출연하였다. 1979년 5월 31일 98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묘소

윤응호의 유해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할리우드 포레스트 론 공동묘지[Forest Lawn Memorial Park]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윤응호의 공적을 기리어 2015년에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민병용, 『미주 이민 100년-초기 인맥을 캔다』(한국일보사 출판국, 1986)
  • 『신한민보』(1916. 4. 6, 12. 21, 1920. 8. 26, 1924. 1. 17, 7. 17, 1925. 3. 26, 1926. 1. 5, 1. 14, 1927. 1. 13, 1934. 12. 27, 1936. 12. 17, 1937. 9. 2, 1942. 6. 18, 1943. 8. 19)
  • 한국 독립운동 정보시스템(http://search.i815.or.kr)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