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구

원어 항목명 Byeong Gu Yoon
한자 尹炳球
영문 Byeong Gu Yo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하와이주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0년 12월 22일
수학 시기/일시 1896년
수학 시기/일시 1899년~1901년
몰년 시기/일시 1949년 6월 20일
추모 시기/일시 1977년
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군
거주|이주지 미국 하와이주
활동지 미국|한국
원어 항목명 Byeong Gu Yoo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윤병구(尹炳球)하와이에서 한인들에게 전도 활동을 하며 국권 회복 운동을 위해 신민회, 북미대한인애국동지대표회, 애국동맹단에서 활동하였다. 상항 한인감리교회 대한소학교, 워싱턴 한인교육회를 조직하고 한인 청년 교육을 추진했고, 뉴욕한인교회 재미조선문화회에서 일본 침략을 규탄하기도 하였다. 영문 월간지 『The Star Exponent』를 발간하여 한인 2세에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국 사회에 한국 문화와 역사를 알렸다. 해방 후 이승만(李承晩)의 정치 활동을 후원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귀국하여 외무부와 공보부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가계

어릴 적 부모가 사망하여 고모에게 입양되어 우병길(禹炳吉)로 개명했다가, 하와이 이민 후 1905년경 다시 윤병구로 고쳤다. 윤병구는 1903년 10월 5일 하와이에 도착했고, 부인과 아들은 1904년 3월 30일 호놀룰루에 도착하였다.

활동 사항

윤병구는 1903년 10월 5일 남감리교 선교부의 후원을 받아 하와이 한인들 대상으로 전도 활동에 전념하며, 국권 회복 운동을 위해 1903년 8월 7일 결성된 신민회에서 활동하였다. 1905년 8월 4일 뉴욕주 새거모어 힐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미국 대통령을 만나 윤병구이승만은 자주 독립 내용을 담은 청원서를 직접 제출하여 국권 회복을 위한 한국인의 자주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밝혔다. 1907년 9월 3일 헤이그의 국제기자협회를 상대로 일본의 국권 강탈을 규탄하고 한국 독립을 호소하여 『해조신문』[1908. 3. 19~20]에 소개되었다. 1908년 3월 북미대한인애국동지대표회에서 해외 한인들의 결속 방안과 민족 운동 방향을 논의하고 출판 사업, 한인 통신소 설치, 군사 학교 설립 등을 결의하였다.

1910년 7월 4일 샌프란시스코 ‘합방 반대’ 특별회 때 윤병구는 임시 의장으로서 애국동맹단을 결성하고 ‘합방 반대’ 「취지서」와 「청원서」를 대한제국 황제와 일본 왕, 대한제국과 외교 관계를 맺은 9개국 정부에 발송하였다. 1910년 11월에는 상항 한인감리교회 안에 대한소학교를 설립하고 어린이들에게 한글과 한국 역사를 가르쳐 민족정신을 일깨웠다. 1914년 1월 워싱턴주로 이주하여 한인교육회를 조직하고 한인 청년들에게 실용 학문을 장려하는 활동을 추진하였다.

윤병구는 1929~1936년 뉴욕한인교회재미조선문화회를 설립[1931. 12. 13]하고 일본의 만주 침략을 규탄하는 활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1943년 1월 한족출정군인친족회를 만들어 미군 출정 가족을 후원하고 영문 월간지 『The Star Exponent』를 발간하여 한인 2세에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국 사회에 한국 문화와 역사를 알렸다. 해방 후 로스앤젤레스 대한인기독교회에서 목회하고 이승만의 정치 활동을 후원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이승만의 초청으로 1949년 3월 14일 귀국한 후 외무부와 공보부의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윤병구의 공로를 기리어 1977년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현순, 『포와 유람기』(일한인쇄주식회사, 1909)
  • 최병헌,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깊은샘, 1992)
  • 『대도』2-5·9·10(샌프란시스코 한인연합감리교회)
  • 『매일신문』(1898. 5. 30)
  • 『공립신보』(1905. 12. 21, 1906. 1. 8, 1908. 7. 14, 8. 5)
  • 『해조신문』(1908. 3. 19, 3. 20)
  • 『국민보』(1913. 10. 25, 1943. 7. 14, 1944. 6. 1, 1945. 7. 15, 1949. 3. 2)
  • 『신한민보』(1919. 9. 18, 1922. 4. 6)
  • 『조선일보』(1925. 3. 13)
  • 『북미시보』(1946. 4. 1)
  • 『동아일보』(1949. 3. 17, 6. 2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