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安昌浩)

원어 항목명 Dosan Ahn Chang Ho
한자 安昌浩
영문 Dosan Ahn Chang Ho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8년 11월 9일
몰년 시기/일시 1938년 3월 10일
추모 시기/일시 1962년
추모 시기/일시 2001년 8월 11일
추모 시기/일시 1999년 6월 1일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일명 도롱섬]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활동지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중국 북만주|대한민국|멕시코
묘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20 도산공원
원어 항목명 Dosan Ahn Chang Ho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과 중국에서 활약한 정치가, 교육가, 혁명가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안창호(安昌浩)이승만(李承晩), 박용만(朴容萬)과 더불어 미주에서 활동했던 3대 독립운동가의 한 사람이다.

가계

호는 도산(島山),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1878년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江西郡 草里面 七里 鳳翔島)에서 아버지 안흥국(安興國)과 어머니 제안 황씨의 3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 이혜련 여사와의 사이에서 장남 안필립, 차남 안필선, 장녀 안수산, 차녀 안수라, 유복자인 안필영 등 3남 2녀를 낳았다. 도산 안창호로스앤젤레스에서 부인 이혜련 여사와 5남매와 함께 산 세월은 13년 2개월이며 세 차례 미주에 체류하였다. 도산의 후예는 현재 4대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거주하고 있다.

활동 사항

1891년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며 필대은(畢大殷)을 만나고, 1894년 서울로 올라와 민노아(閔老雅)[F.S. Miller] 학당에 입학하였다. 1897년 필대은과 함께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독립협회 관서지부를 결성하였으나 독립협회가 해산되자 1899년 강서군 최초 남녀공학인 점진학교(漸進學校)를 세웠다.

1902년 9월 이혜련과 결혼식을 올리고 다음날 미국 유학길에 올랐고, 190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친목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선출되었다. 190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북미 최초 결사인 한인친목회를 결성하고 노동 소개소를 열었다. 1905년 한국이 국권 상실 위험에 처한 소식을 듣고 한인친목회를 발전시켜 공립협회를 결성하여 공립관을 마련하고 『공립신보』를 창간하였다. 공립협회 원동 위원으로 선정되어 1907년 2월에 한국에 도착하여 국내 애국 동지들을 모아 4월에 비밀결사 신민회를 결성하였다. 1908년 8월 청년학우회를 결성하고, 9월 평양에 대성중학교를 설립하였다.

1910년 연해주 한인 동포 사회를 순회하였으며, 1911년 5월말 북만주 밀산의 봉밀산 개척지를 돌아보고 9월 3일 미국 뉴욕항에 도착하였다. 1909년에는 임시 정부 역할을 맡은 국민회를 창당하고, 1912년 11월 20일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소집하였다. 또한 1913년에 무실역행(務實力行), 건전인격(健全人格), 단결훈련(團結訓練), 국민개업(國民皆業) 등 정신 개조를 목표로 민족 계몽 운동을 전개할 흥사단을 창단하였다. 1917년 6월 이승만박용만을 화해시키기 위해 하와이 한인 사회를 방문했으며, 10월 멕시코 한인의 초빙을 받고 10개월간 멕시코 한인 사회를 방문하고 1918년 6월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왔다. 1919년 8월 5일 중가주 다뉴바에서 대한여자애국단의 창단을 도왔다.

묘소

안창호의 유해는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1973년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20에 도산공원이 조성되면서 부인 이혜련의 유해와 함께 도산공원 내의 묘소에 이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안창호의 공적을 기리어 1962년 건국 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2002년 한인 이민 100주년을 맞아 재미 한인 사회의 안정을 위해 힘쓴 도산 선생을 기리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케빈 머레이 상원 의원이 ‘도산 안창호 인터체인지 명명 결의안’을 제출하였다. 결의안 통과로 2004년 6월 11일 현판식이 거행되었다.

‘Dosan Ahn Chang Ho Memorial Interchange’[도산 안창호 기념 인터체인지]라고 쓰인 표지판은 로스앤젤레스시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10번 프리웨이와 110번 프리웨이가 서로 만나는 곳에 있다. 2004년 6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 6가 우체국을 도산안창호우체국[3751 W 6th St Los Angeles, CA 90020]으로 개명하였다. 연방 정부 소유 건물에 한국계 인물의 이름이 붙은 것은 도산안창호우체국이 처음이다.

참고문헌
  • 『도산 안창호 전집』1~14(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2000)
  • 이명화, 『도산 안창호의 독립운동과 통일 노선』(경인문화사, 2002)
  • 한국 독립운동 정보시스템(http://search.i815.or.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