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호

원어 항목명 Hyeong Ho Shin
한자 申衡浩
영문 Hyeong Ho Shi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1년 1월 15일
수학 시기/일시 1907년 7월 10일
수학 시기/일시 1918년|1920년~1922년
몰년 시기/일시 미상
추모 시기/일시 2011년
출생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리
거주|이주지 미국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시
학교|수학지 미국 일리노이주
활동지 미국 콜로라도주|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원어 항목명 Hyeong Ho Shin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서부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신형호(申衡浩)는 1914년 미국 네브래스카주 헤이스팅스 한인소년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고, 대한인국민회, 대한인동지회, 국민회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가계

1891년 부친 신정식(申廷植)과 어머니 권영경(權寧卿)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예관(睨觀) 신규식(申奎植)이 신형호의 숙부다.

활동 사항

1907년 3월 국채 보상 운동에 참가하였다. 황성기독교청년회의 학관에서 영어를 배워 중국으로 망명하고 1912년 6월 도미한 후 헤이스팅스중학교에 입학해 공부하면서 헤이스팅스의 한인소년병학교에 들어가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14년 2월 헤이스팅스에서 한인소년병학교 유지단을 조직한 후, 「소년병학교 유지단 취지서」와 「소년병학교 유지단 규칙」을 발표하고 『국민보』에 「소년병학교」라는 장문의 글을 게재하여 소년병학교 후원을 호소하였다. 1915년 1월 1일 소년병학교 후원자와 졸업생들과 콜로라도주 웰도카운티 갈레턴에 한인농업회사를 설립하였다. 1919년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 서기로 선출되어 독립 의연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15일 시카고지방회 회장으로서 ‘대한공화국 신정부 조직’ 경축식을 거행하였다. 1919년 4월 25일 디트로이트지방회 설립을 의결하고, 5월 2일 북미지방총회 인준을 받았다. 1922년 1월 15일 이승만(李承晩)·이용직·정한경·김영기·남궁염·허정 등 7인과 함께 비밀결사 대광(大光)을 조직하였고, 대광은 1926년 6월 대한인동지회 뉴욕지부로 개편되었다. 1922년 1월 잡지 『만세보』 주필로 활동하며 1925년까지 구미위원부에서 대내외 연락, 재정 및 통신문 발행 업무를 담당하고, 미국 각지를 순방하며 이승만의 외교 활동 후원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7년 5월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한 북미유학생 서부대회에서 강사로 활동하였고 1930년 3월 로스앤젤레스 한인들이 광주 학생 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공동회를 결성할 때 참가하였다. 1936년 7월 대한인국민회총회 특별대의원회에 참석하여 임원 제도를 위원제로 수정하고, 임시 정부 후원, 대한인국민회 총회관로스앤젤레스 이전 등을 결의하는 데 기여하였다. 1938년 11월 국민회 중앙상무위원회에서 시사 위원 7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어 중일 전쟁의 정세와 비상시 재미 한인의 행동 및 대외 선전 방침을 연구하였다. 1944년 6월과 8월에 동지회 북미총회에 독립금을, 1945년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인양로원을 위한 특연금, 1945년 9월 임시 정부 후원금을 기부하였다. 사망시기는 미상이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신형호의 공적을 기리어 2011년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 자료집』8(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 한상도, 「중국 혁명 세력과의 연대 구축」(『일제의 무단 통치와 3·1 운동』, 국사편찬위원회, 2013)
  • 『우라키』1(북미학생총회, 1925)
  • 『황성신문』(1907. 2. 9, 3. 30, 7. 4, 12. 1, 1908. 4. 1, 6. 23, 1910. 6.21)
  • 『신한민보』(1912. 6. 17, 1913. 10. 31, 1914. 4. 16, 1916. 6. 22, 1917. 6. 28, 1918. 12. 19, 1919. 4. 15, 4. 24, 5. 6, 8. 16, 8. 19, 1920. 5. 11, 5. 18, 5. 28, 10. 21, 1922. 3. 16, 1923. 8. 2, 8. 9, 11. 15, 1924. 3. 13, 1925. 4. 2, 1926. 9. 23, 1927. 6. 9, 11. 17, 1930. 3. 13, 1933. 4. 13, 1935. 9. 19, 12. 12, 1936. 5. 7, 7. 9, 9. 3, 9. 24, 1937. 12. 9, 1938. 7. 14, 11. 17, 1939. 1. 19, 1939. 6. 8)
  • 『국민보』(1914. 2. 2, 7. 15)
  • 『독립신문』(1922. 9. 30)
  • 『동아일보』(1925. 2. 16)
  • 『북미시보』(1944. 6. 1, 8. 15, 1945. 6. 15, 9. 15, 1946. 2. 15)
  • 『태평양주보』(1963. 9. 2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