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헌영

원어 항목명 Hun Young Song
한자 宋憲榮
영문 Hun Young Song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7년 2월 1일
몰년 시기/일시 1970년 3월 3일
추모 시기/일시 2014년
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거주|이주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
활동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시|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들리시
원어 항목명 Hun Young Song
성격 독립운동가|목사
성별
정의

일제 강점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한인 교회 목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대한인동지회 북미총회 부회장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제공한 독립 유공자이다.

활동 사항

송헌영(宋憲榮)은 1930년 12월 로스앤젤레스로 정착한 후, 1931년 5월 나성 한인공동회가 삼일학교(三一學校)를 개설하자 교사로 활동하였다. 1932년 8월 29일 나성한인감리교회에서 치른 국치기념식 때 연설로 독립 의식을 고취하였다. 1939년 4월 나성 한인기독교회의 부목사로, 한 달 뒤 리들리 한인장로교회 초대 목사 겸 리들리 국어학교 교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 신한민보사 리들리 지역 통신원으로 활동하였고, 1941년 3월 리들리 한인장로교회에서 3·1절 기념식을 거행하고 장로교 정식 목사로 임명되었다.

1945년부터 동지회 북미총회의 기관지 『북미시보(北美時報)』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이승만(李承晩)의 외교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1945년 5월 동지회 북미총회 주관으로 제1회 동지회 미·포대표대회가 열릴 때 정치·외교·군사 운동으로 광복 사업을 촉진할 것을 결의하고 대한인동지회대한민주당으로 개칭할 때 대한민주당 규칙 기초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32~1946년간 독립운동을 위한 의연금 후원 활동을 하였다. 1970년 3월 3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송헌영의 공훈을 기려 2014년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신한민보』(1930. 12. 18, 1931. 1. 29, 6. 11, 11. 12, 1932. 9. 1, 9. 8, 9. 15, 10. 13, 1933. 7. 20, 1934. 1. 25, 1935. 8. 15, 9. 5, 1936. 5. 7, 1939. 4. 13, 6. 1, 6. 8, 6. 22, 7. 20, 1940. 3. 14, 4. 25, 12. 26, 1941. 3. 13, 3. 20, 3. 27, 4. 24, 1942. 2. 26, 4. 30, 1943. 5. 13, 1944. 2. 10, 10. 5, 11. 9, 11. 23)
  •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79(1943. 10. 8)
  • 『북미시보』(1944. 8. 15, 9. 1, 9. 15, 10. 1, 1945. 7. 1, 7. 15, 8. 22, 9. 15, 10. 1, 10. 18, 12. 15, 1946. 1, 1, 9. 10)
  • 『독립』(1945. 7. 25)
  • 『태평양주보』(1955. 12. 23, 1962. 2. 23)
이전 TOP